변신 일러스트와 함께 읽는 세계명작
프란츠 카프카 지음, 이재황 옮김, 루이스 스카파티 그림 / 문학동네 / 2005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간소외에 대한 본질적인 물음을 던지다. 현대사회에서 인간은 무엇인가.

 

  워낙 유명한 고전(?)이라고 할 수 있는 카프카의 변신. 이야기의 내용은 간단하다. 어느 날 갑자기 벌레(필자는 바퀴벌레로 상상했다. 하지만 후에 노모 가정부가 말똥구리라는 표현을 쓰긴 한다.)로 변신한 주인공. 아버지, 어머니, 여동생의 부양가족들을 먹여 살리기 위해 판매직 영업사원으로써 회사를 위해서 열심히 일하며 살아가던 도중 뜻밖에 일을 당하게 된다. 벌레로 변신한 주인공의 지위에 관한 변화가 두드러지는 작품이라고 볼 수 있다. 가족을 부양하는 가족에서 부양하지 못하는 지위가 되자 가족에게 마저 홀대받고 천덕꾸러기 신세가 된다. 이야기의 내용은 쉽게 따라갈 수 있다. 어려운 문장도 없다. 특히나 이 책의 경우 삽화까지 있어서 내용을 이해하는데 한층 도움을 준다.

 

  이 소설이 쓰인 당시 배경을 생각해보면 산업사회이다. 인간이 기계화 되고, 인간의 본성이 경제적인 욕구에 밀려 작은 것으로 취급되는 사회이다. 가족을 위해 자신의 몸을 희생시켜가며 일을 하고, 회사를 위해서 일한다. 개인적인 욕심이 아니라 회사의 이익을 위해서 열심히 일한다. 기계화 된 것이다. 하지만 벌레로 변신하므로인해 기계화에서 탈기계화로 넘어가게 된다. 더이상 인간의 언어를 말할 수 없고, 일을 하지 못한다. 몸이라는 육체를 벗어나 영혼만 가지고 있는 상태가 된다.

 

  철학적인 물음이 하나 등장한다. 외모는 짐승, 즉 인간이 아니어도 영혼이 인간이면 인간일 수 있을까?. 반대로 인간의 모습을 하고 있으되, 영혼이 인간이 아닌 짐승이라면 그것은 인간이라고 할 수 있을까?. 필자는 변신을 읽으면서 많은 부분에서 거북함을 느낄 수밖에 없었다. 가족을 위해 희생하던 주인공이. 외적인 부분에서 동질감을 느끼지 못한다고 하여 지금까지의 일은 과거로 미루어지고, 소외당한다. 생각은 분명히 인간이다. 주인공 자신이다. 자신의 방에서 자신이 쓰던 물건들이 하나씩 빠져나갈때 절망을 느끼고, 그것을 거부하고. 가족을 여전히 사랑하며 가족의 욕구에 맞춘다. 하지만 가족은 어떠한가.

 

  오늘날에도 이러한 행태는 이어진다. 자본주의의 틀속에서 사람의 탈을 쓰고 짐승의 행동을 한다. 경제적인 이윤추구에 돈이 멀어 친인척을 해치기도 한다. 고전이라는 특성상 작가의 답은 주어지지 않는다. 다만 우리가 체감하고, 느낄 뿐이고, 생각할 뿐이다. 인간의 본성이란 무엇이고, 인간 소외에 관해서 생각을 하게 만든다.

 

  책을 읽음으로써 뭔가 희열이 일어나진 않는다. 하지만 뭔가의 깨달음을 얻을 수는 있다. 이 책, 번역서가 왜이리 많이 나오고 사람들의 입을 통해 전해지는 이유는 책을 읽어야 느낄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