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트업 시대에 PM, 프로덕트 매니저로 사는 법
최기훤 지음 / 비팬북스 / 2016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통섭적 사고, 바로 지금이다_<PM으로 사는 법>

 

LG를 시작으로 현재 효성그룹에서 프로덕트 매니저을 수행하고 있는 현직 전문가가 현실적인 조언을 던져준다.

보통 PM이라고 하면 프로젝트 매니저(Project Manager)로 쓰이는 개념이지만, 그 상위 호환인 프로덕트 매니저(Product Manager)가 있다.

PM이란 무엇이며, 어떤 일을 하는지에 대한 소개가 담겨있다.

 

프로덕트 매니저는 어느 한 곳에 매몰된 인재가 아니라 인문학과 기술력이 융합된 인재가 되어야 한다. 어느 하나에 치우치지 말고 본인의 가치를 넓힐 수 있게 부단히 노력하라. 고정된 틀에 얽매이지 않는 프로덕트 매니저가 많이 배출되기를 간절히 빈다

 

프로덕트 매니저는 간단하게 말하면 제품의 탄생부터 전성기까지를 함께 한다고 보면 된다.

제품 기획, 마케팅 전략 수립, 프리젠테이션, 커뮤니케이션, 시간 관리, 조직 관리 등을 책임지는 자리가 PM의 자리다.

그렇기 때문에 한 가지 영역에 능력치를 몰빵하면 안되고, 통섭적 사고가 있어야 한다. 기술에 대한 지식이 있어야 하고, 이것을 버무릴 수 있는 인문학적 사고도 필요하다. 그래서 성공한 PM의 연봉은 억대를 넘어간다.

 

작가는 세심하게 말해준다. PM 직군이 되려면 우리는 어떻게 준비해야 하는지를 말이다.

결론을 유출해보자면, 특별하게 PM이 될 수 있는 엘리트 코스는 없으며 개인의 역량과 열정이 좌우한다고 조언을 던진다.

 

제품의 성공을 위해 영업과 함께 판매 전략을 고민하라. 제품의 성공을 위해 엔지니어들과 같이 기술을 연구하라. 제품의 성공을 위해 협력사들과 밀착된 파트너쉽을 구축하라. 제품의 성공을 위해 혼자 가지 마라. 같이 가라. 그것이 바로 제품의 성공을 이끄는 길이 될 것이다

 

직장 생활에 대한 경험이 있는 사람이라면, 이 말이 얼마나 어려운 말인지 알 것이다. 애초에 언급한 일들은 부서로 다 전문화되고, 분업화되어 있기 때문이다. 기술직군은 경영사무직에 대한 관심이 없으며,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같이 가는 것은 또 얼마나 어려운가. 성과금의 그늘 아래에 같이 간다는 것은 어쩌면 인간의 본성을 시험하는 일과 같다.

그럼에도 PM이라는 직군은 그것을 수행하고자 한다.

 

 

사실 여기서 말하는 PM의 역량은 미래 산업 시대에 모든 직업군에 필요한 것이 아닐까 생각이 된다. 통섭적 사고를 요구하는 요즘, 미래형 인재는 더 이상 문제해결 능력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문제를 발견할 수 있는 인재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고 있다.

사고가 터지기 전에 문제를 예측할 수 있는 사람은, 회사의 막대한 손실을 예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인터넷이 발달한 요즘, 잊혀질 권리는 사라졌고 한 번의 사고로 모든 것이 무너질 수 있는 시대가 되었다. 그만큼 사고를 해결하는 것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사고를 예방하는 것이 중요해졌다.

 

모두가 PM이 될 필요는 없다

그러나 PM의 역량인 통섭적 사고는 권장한다.

사고의 영역을 넓힐 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