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느 날 나는 바깥으로 들어갔다, 1인용 식탁>을 읽고 리뷰를 남겨 주세요.
1인용 식탁
윤고은 지음 / 문학과지성사 / 2010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밖에서' 혼자 먹는 밥은 나도 그리 좋아하지 않는다. 집에서 혼자 먹는 밥은 이상하게도 괜찮다. 오히려 편안하기까지 하다. 혼자 있으면 반찬을 대충 꺼내놓고 내 밥만 차리면 되니까. 국에 밥을 말아 김치 하나로 먹든, 마른반찬 몇 가지와 국 하나만 놓고 먹든 TV를 보며, 혹은 라디오를 들으며 먹는 밥은 좋다. 그런데도 밖에서 혼자 먹는 밥에는 쉽게 적응이 되지 않는 것은 왜일까. 식당에 있는 사람들의 시선이 나에게만 향해있는 것 같고, 내가 뭘 먹나 유심히 쳐다보는 것 같고, 왜 쟤는 혼자 밥을 먹나 궁금해할 것만 같다. 그래서 굳이 밖에서 혼자 밥을 먹어야 하는 상황이 생기면 쉽게 끼니를 때울 수 있는 샌드위치를 주로 이용하기도 했었다.  

윤고은의 소설집 [1인용 식탁]의 제목을 처음 봤을 때는 정말 한 사람만 사용할 수 있는 식탁에 관한 이야기인 줄 알았다. 세 명도, 두 명도 못앉고 오직 한 사람만 앉을 수 있는 그런 식탁 말이다. 하지만 그런 내 예상과는 달리 표제작인 <1인용 식탁>은 혼자 밥을 먹는 일에 관한 이야기다. 어찌된 일인지 점심 시간에 혼자만 덩그러니 남아버린 주인공. 첫날은 그러려니 하며 넘겼지만 점심 시간에 함께 밥을 먹으러 가자는 동료 하나 없다. 결국 몇 개월을 혼자만의 식탁을 맞이해야 했던 그녀는 간단한 분식에서부터 패밀리 레스토랑, 고기집에 이르기까지 혼자 밥을 먹을 수 있게 그 방법을 가르쳐주는 학원에 등록한다.  

그렇지 않은 사람들도 있겠지만 적어도 나는, 혼자 밥 먹는 순간이 오면 외로웠던 것 같다. 밥을 앞에 놓고 외롭다니, 하루 세 끼를 챙겨먹지 못하는 사람들이 이런 말을 들으면 복에 겨워 하는 소리라고 욕을 내뱉을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사람 사이에서 '밥'은 더 이상 '밥'으로만 존재하지 않는다. 밥을 먹으며 공통의 관심사를 이야기하고, 고민도 풀어놓으며 관계를 다지는 시간으로 활용한다. 같은 찌개를 먹고 같은 반찬을 먹으며 친밀한 감정을 형성하는 것이다. 이 작품은 그런 심리를 날카롭게 표현한다. '1인용 식탁'이라는 상상력에 깜짝 놀라고 그 학원에 등록하는 사람들의 심리에 몸서리쳤다.  

하지만 <1인용 식탁>만 내 취향과 맞았을 뿐 다른 작품들은 불편하기도 하고 잘 이해되지 않기도 했다. 그녀의 머릿속에서 피어난 온갖 세계들. 아직은 많은 사람들에게 공감을 얻기에는 조금 부족해 보이지만 맨 마지막에 실린 <홍도야 울지 마라> 정도가 앞으로의 그녀가 어떤 행보를 보여줄 지 살짝 궁금하게 만든 정도랄까. 단편보다는 장편을 더 좋아하는 나이기에 취향의 차이일 수도 있으니 염두에 두시기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