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느 날 나는 바깥으로 들어갔다, 1인용 식탁>을 읽고 리뷰를 남겨 주세요.
-
-
어느 날 나는 바깥으로 들어갔다 - 스물여섯의 사람, 사물 그리고 풍경에 대한 인터뷰
최윤필 지음 / 글항아리 / 2010년 2월
평점 :
'바깥'의 개념이 무엇인가, 잠시 생각해본다. 듣기에 따라서는 그리 기분좋은 말이 아닐 수도 있겠다, 싶다. 어느 곳에도 소속되지 못하고 그 언저리를 맴도는 듯한 느낌, 주류가 아닌 비주류의 분위기, 은근한 방어와 고립의 냄새가 난다. 나와 친근하지 않은 그 무엇들을 우리는 '바깥'이라 부르고 있지 않던가. 그리고 대부분의 사람이 그렇듯, 나는 바깥보다는 안쪽에 속하는 것에 안도를 느낄 때가 많았던 것도 같다. 그곳이 어디이든, 그것이 무엇이든 '안쪽'이 주는 느낌은 '바깥'보다는 편안한 듯 보이니까. 하지만. 정말 '안쪽'이 '바깥'보다 더 편안한 것인가. 그 곳에서 더 행복할 수 있다고 단언할 수 있을까.
장차 목수가 꿈인 전직 신문사 기자, 늦어도 쉰 살쯤에는 수도권 바깥에 번듯한 작업장 열고 부끄러움 없이 자신을 목수라 소개하고 싶다는 저자가 소개한 26가지 빛깔의 이야기는 그 '바깥'의 의미를 정의하면서부터 시작된다. -큰 흐름의 바깥, 스포트라이트의 바깥-이라는 의미지만 안과 밖의 경계가 허술한 공간을 의미한다고 했다. 경계의 경계(警戒) 가 삼엄하지 않고 안과 바깥이 평화롭게 바뀌기도 하고 섞이기도 하며, 아예 구분이 무의미해지는 마당을 바란다고도 한다. 어쩐지 마음의 벽이 허물어지는 느낌이다. 나는 '바깥'이라는 단어에서부터 이미 경계하고 있었던 모양이다.
제목만 '바깥'일 뿐, 그저 평범한 사람들이 자신이 있는 곳에서 힘을 다해 살아가는 이야기다. 그 안에서 그 사람들, 혹은 공간은 그 자신들에게 있어 '바깥'이 아닌 '안쪽'이다. 그 삶에서는 그들이 주인공인 것이다. 허리우드 클래식을 운영하는 김은주 사장, 떠돌이 영화감독 신지승, 인디밴드 타바코쥬스, 나쁜 소리에는 조심하고 좋은 소리엔 열심히 살면 된다는 천하대신 할머니, 탈북청소년 대안학교 셋넷학교 박상영 교장, 아름다운 넘버3 산악계의 휴머니스트 한왕용, 성 베네딕도 요셉수도원, 군무 발레리나 안지원, 다큐 감독 최기순, 최근덕 성균관장까지 각계 각층의 사람들이 모여 있다. 참 많은 사람들을 만나기도 했다. 어디에서 이런 사람들을 다 찾아냈을까.
다양한 직업을 가지고 있고, 서로 다른 삶의 빛을 내뿜고 있는 그들이지만 한 가지 공통점이 있다. 모두가 자신이 하는 일을 좋아하고, 좋아하고, 또 좋아한다는 것이다. 물질과 상관없이, 간혹 남의 시선이 신경이 쓰이기는 해도 '그저 좋아 하는 일'인 것이다. 그 중에서도 탈북청소년 대안학교 셋넷학교 박상영 교장의 이야기가 가장 마음을 두드린다. 한 학생으로부터 태어나 처음으로 행복감을 느꼈다는 말을 들었다는 그. 기죽지 말로 꼴리는 대로(책에 나온 표현임) 살라는 뜻을 담아 정한 셋넷학교의 교훈에 알 수 없이 이끌린다.
|
뚜벅뚜벅 당당하게, 사뿐사뿐 유연하게-p139 |
모두가 그렇다고는 할 수 없지만 물질적으로 풍요로워질수록 인간의 정신은 점점 쇠락해가고 있다는 기분이 들었다. 여유없는 생활, 앞만보고 달려가야 '남'에게 '성공'했다고 말할 수 있는 인생. 우리가 누리고 있는 지금 이 시간이 온전히 자기 것이라고 당당하게 말할 수 있는 사람이 과연 몇이나 될까. 이 책에 등장하는 그들은 말할 수 있다. 자신들의 삶에 다른 주인공은 없다고. 오직 자신 뿐이라고.
갑자기 숨쉬기가 편안해진 듯 마음이 넉넉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