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통날의 파스타>를 읽고 리뷰해 주세요.
-
-
보통날의 파스타 - 이탈리아에서 훔쳐 온 진짜 파스타 이야기
박찬일 지음 / 나무수 / 2009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이 책을 읽기 전에 한 가지 지켜야 할 점이 있다. 그것은 뱃속을 비워두어서는 안 된다는 것! 나는 심지어 저녁을 먹고나서 책을 읽기 시작했는데도 먹음직스런 파스타 사진에 밀려오는 배고픔을 참기가 너무 힘들었다. 나는 특히 토마토 소스 파트타를 좋아하는데 평소 즐겨먹지 않던 크림소스 파스타 사진에도 입맛을 다셨을 정도다. 어디 파스타 뿐인가. 이탈리아의 만두 라비올리에 뇨키와 리조또까지! 캬~요리와 관련된 책은 밤에 읽어서는 안 된다는 것을 깨달았다.
파스타는 비교적 만들어먹기 쉬운 요리다. 예나 지금이나 '혼자 있으면서 뭘 해먹어!'라는 신념을 굳게 지키고 있는 나조차도 '몇 번' 정도는 파스타를 만들었던 적이 있다. 그것도 몇 년 전 이야기지만. 전문성에는 한참 못미치지만 마트에서 파는 파스타면과 소스를 사다 대충 만들어먹은 파스타는 나름대로 먹을만했다고 기억하고 싶다. 예전에는 무슨 특별한 일이 있을 때나 기분 내기 위해 먹었던 파스타는, 지금은 일상에서 쉽게 만들고 쉽게 먹을 수 있는, 우리와 가장 친숙한 요리 중 하나가 되었다.
[보통날의 파스타] 는 제목 그대로 파스타에 관한 책이다. 이미 [지중해 태양의 요리사]라는 책으로 친숙한 작가는, 이탈리아 요리학교를 수료했고 시칠리아에서 연수한 후 귀국 후 셰프 생활을 했다고 한다. 그 동안 그냥 무심코 입 속에 넣기 바빴던 파스타. 스파게티가 파스타의 다른 이름인 줄 알아왔던 그 파스타의 세계가 현란한 사진과 레시피, 정겨운 이탈리아 문화와 함께 우리 눈 앞에 펼쳐진다.
책을 읽으면서 가장 크게 깨달은 점은 스파게티가 파스타의 한 종류였다는 것이다. 그 동안 스파게티의 다른 이름이 파스타인 줄로만 알았던 나는 콘길리에, 라자냐, 펜네, 페투치네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는 것을 처음 알았다. 또 꾸불꾸불하고 짧은 파스타의 이름이 푸질리라는 것도. 파스타의 다양한 종류에서부터 재료, 소스와 이탈리아 사람들이 파스타를 어떻게 즐기는지, 그들의 식생활과 문화는 어떠한지에 관한 이야기가 파스타와 버무려져 맛있게 전개된다. 한 번도 들어본 적 없는 고등어 파스타에 참치 스파게티, 이름은 들어봤지만 본 적조차 없는 오징어 먹물 파스타 등 파스타의 세계는 무궁무진했다. 그리고 더불어 나의 배고픔은 깊어만 갔다.
정보도 자세하고 맛있어보이는 사진에 덤으로 레시피까지 실려있지만, 사실 쪼콤 이런 생각도 들었다. '나는 그냥 먹고만 싶은데 이런 것도 다 알아야 해?' 라는. 이탈리아 요리를 배우고 싶어하는 사람이나 셰프를 목표로 하는 사람들이 읽으면 정말 유용한 책이겠지만 일반 사람들이 읽기에는 살짝 지루할 수도 있는 책이니 고려해보시기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