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샹보거리>를 읽고 리뷰해 주세요.
데샹보 거리
가브리엘 루아 지음, 이세진 옮김 / 이상북스 / 2009년 10월
평점 :
품절


가브리엘 루아는 [내 생애의 아이들]이라는 책으로 잘 알려진 작가다. 이제 막 교단에 서서 순수하고 맑은 아이들을, 또 그만큼 아무 편견없이 깨끗한 눈으로 바라보는 여교사의 일상이 따스한 에피소드로 가득 채워져 있었다. 그의 작품 중에서 읽어본 것은 그 책 한 권이었지만 자연적인 냄새가 물씬 풍겨오는 느낌이 나쁘지 않다. 원래의 목적이었던 교사들의 지침서로 삼기에는 약간 부족한 면이 있었지만 또 그런 면이 오히려 풋풋한 초임교사의 매력을 더해주었던 듯 하다. 실제로 교사 생활을 한 그의 자전적인 경험이 담기기도 했는데, [데샹보 거리]또한 자전적이면서도 일기같은 느낌을 주는 책이다. 

이야기를 이끌어나가는 것은 크리스틴. 캐나다 매니토바 주 위니펙 근교에서 생활하는 어린 소녀다. 모두 18편의 단편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첫 이야기 <두 흑인> 뒤에 이어지는 <프티트 미제르>에서 이것이 연작단편이라는 점을 짐작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다. <두 흑인>에서 느껴지던 따스하고 다정한 가족의 이야기와 <프티트 미제르>의 다소 불행한 듯한 분위기가 어울리지 않았기 때문이다. 온 가족의 이야기들이 이 크리스틴의 눈을 통해 펼쳐지니 분위기에 차이가 나는 것은 어쩔 수 없는 듯 하다. 

크리스틴은 과거의 기억에서 자유롭지 못하고 상처를 안고 사는 우울한 아버지와 여행을 좋아하는 자유로운 영혼의 소유자 엄마 밑에서 자라고 있다. 아버지가 등장하는 작품 몇 편의 분위기가 차분해지고 암울해지는 것은 바로 그의 상처 때문이기도 한데  <던리 우물>편에서 그 궁금증이 해소된다. 자유로운 영혼을 가진 엄마의 특성이 가장 잘 드러나는 이야기는 <집 나온 여자들>이다. 늘 여행을 꿈꾸었던 엄마와 크리스틴은 어느 날 드디어 여행을 떠난다. 수녀가 된 어린시절 친구와 만나고 아버지와 소식을 끊고 살았던 친척들을 만나고 집으로 돌아온 그들을 기다린 것은 화가 난 아버지였다. 그런 아버지도 엄마가 여행에서 만난 사람들의 이야기를 전하고 친척들의 안부를 전하자 눈물을 글썽이는 대목이 인상적이다. 그 외 형제들에 대한 이야기도 비교적 자세히 서술되어 있는데, 꼬마 크리스틴의 눈으로 비춰지는 세상이라고 보기에는 어른스러운 점도 엿보인다. 

크게 재미가 있다거나 감동을 받을만한 책은 아니지만 조근조근한 문장은 마음에 든다. 약간 지루한 면도 없지 않지만 어린시절의 일기를 생각나게 하는 갖가지 에피소드들, 때로는 순수하고 사심없지만 또 때로는 어른들 못지 않은 깊이있는 사고, 가족과 그 주변 사람들에 대한 정다움과 애정이 묻어있는 동화같은 이야기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