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장미 도둑
아사다 지로 지음, 양윤옥 옮김 / 문학동네 / 2002년 4월
평점 :
절판
[철도원]과 [파이란]의 원저자인 아사다 지로의 단편집 [장미도둑]을 펴들었을 때는 공교롭게도 일본 만화 [시마과장]을 보고 있을 때였다. 이 단편집의 6개 중 절반의 내용이 일본의 샐러리맨과 관련된 것이기에 내내 소설과 만화를 비교하고 읽었다.
이 두개의 출판물을 동시에 읽으며 내가 바라보게 된 일본 사회는 출구가 하나 밖에 없는 답답한 곳이었다. 학교를 졸업하고 회사에 취직해 봉급을 받고 한 곳만 바라보는 사람들이 그 곳의 주인공들이었고, 그 틀 속에서 각각의 행복이라는 것을 추구하는 모습들... 이른 바 쳇바퀴 인생이란 것이 이 소설과 만화의 근간이었다. 차이라면 소설은 그 쳇바퀴에서 밀려난 사람들을 통해 독자에게 위안을 주는 것이고, 만화는 쳇바퀴를 훌륭히 돌리는 시마과장을 통해 대리만족이란 환타지를 준다고 할까.
[수국꽃의 정사]는 주인공들과 시대상황, 공간이 함께 쇠락한다. 정리해고 당한 남자와 텅빈 술집에서 옷을 벗어야 하는 무희가 손님이 끊긴 온천을 배경으로 만나 자살을 공모한다. 어쩌면 억지스런 설정이 작가의 필체와 묘사로 인해 사실성을 띄고 공감대를 형성한다. [무진기행]에서 느끼지 못한 절실함을 나는 왜 이 일본의 단편을 통해 느꼈을까. [나락]이나 [죽음 비용] 모두 이러한 쳇바퀴를 이탈하고 있는 사람들의 최후를 보여준다. 그들의 최후에서 나는 편안함을 느꼈다. 내 자신의 것이 될 수도 있는 미래를 엿보았다고 할까. 성적표를 받기 전에 미리 성적을 알았을 때의 안도감이 드는 것이 이 소설을 읽는 나의 심정이었다.
[히나마츠리]와 [가인]은 참으로 비디오 적이다. 특집 드라마 한편을 손에 쥐듯 인물들의 움직임이 역동적이다. 그러나 각자의 위치에서 최선을 다하는 모습의 캐릭터는 위에서 언급한 세 편과 같은 정서라고 말할 수 있겠고, 왜 이 작가의 작품들이 영화회 되었는지 짐작할 수 있을 듯 하다.
어떤 이는 참으로 가벼운 정서라고 말할 수 있겠지만, 나는 참으로 담백하다고 표현하고 싶다. 울화통이 치밀도록 집착하는 캐릭터는 없지만 묵묵하고 성실한 사람들이 현실의 벽을 향해 입을 앙다물고 머리를 부딪는 정서라고 표현할 수 밖에 없다. 이러한 정서에 슬그머니 동화돼 가슴이 따뜻해져 오니 나도 왜색 독자인가. 나는 애써 부인하고 싶다, 어짜피 민족과 인종을 초월해서 사람의 가슴을 울리고 이야기를 전하는 게 문학의 임무일텐데, 나는 일본인이라기 보다는 아사다 지로라는 작가에게 굴복했다고 말하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