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정
산도르 마라이 지음, 김인순 옮김 / 솔출판사 / 2001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저를 잘 아는 분들이 제 독서 습관 중 아주 나무라는 것이 하나 있습니다. 저는 소설(특히 미스테리 소설)의 전제를 알고 호기심이 일면, 그것을 참아내지 못합니다. 도입부가 제기한 문제에 자극을 받으면 견디지 못하고 책의 뒷 장을 넘겨 모범 답안을 찾아보고 맙니다. 이런 독서의 방식은 범인을 알고 책을 뒤집어 다시 찾아보는 시간의 낭비를 하지 않고, 작가의 장치들을 빼곡히 짚어보며 스토리를 따라갈 수 있다고 저는 변명합니다. 서가에 오랫동안 꽂혀 있던 <열정>을 읽으며, 저는 이런 독서 습관을 다시 되풀이 했습니다.

장군이 그의 친구에게, 오랜 시간동안 평생 되뇌었던 질문을 했을 때, 과연 친구인 콘라드의 반응이 무엇인지 궁금해, 소설의 말미를 꺼내 보지 않을 수 없었습니다. <열정>은 저를 유혹하는데 성공한 것입니다.

제가 읽은 이 <열정>은 독특한 소재를 다루고 있지는 않습니다. 흔하디 흔한 바람 난 유부녀, 아내를 잃은 남편, 친구의 아내를 사랑한 남자의 얘기지만, 작가는 이 소재를 인생의 가장 중요한 문제를 독자들로 생각하게 만드는 철학적 질문으로 바꿨습니다.

저는 작가 산도르 마라이가 다룬 것은 '사랑과 우정'의 문제는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진정한 사랑과, 사랑하는 사람을 소유하는 문제. 내가 사랑하는 사람이 날 사랑하지 않을때, 내 사랑을 고집하는 것이 진정 상대를 사랑하는 행위인지. '스팅'의 노래 중에 'If you love somebody, set them free'. 말도 있지만, 날 사랑하지 않는 이를 자유롭게 해준다면 그것이 진정 사랑의 이름으로 불릴 수 있는 행위인지.이러한 질문들이 이 글을 읽는 동안 계속 되새겨 졌습니다.

크리스티나를 떠나 열대로 향한 콘라드도, 그녀를 두고 2시간 거리의 사냥 별장으로 별거를 택한 '장군'도 겉으로는 상처를 안고 상대를 자유롭게 하는 선택을 하였지만, 아무도 자유롭지 못했습니다. 그들이 사십 일년 전의 시간에 묶여있는 모습이 연이어 다른 질문을 만들어 냈었습니다.

크리스티나가 콘라드의 행위에 대해 말한 '겁쟁이'라는 단어는 그래서 더욱 힘을 얻는지도 모르겠습니다. 그래서 크리스티나를 먼저 보내고 살아 남은 두 사람은 결국 연인이자 아내인 크리스티나의 표현대로 '비겁한' 사람이라고 생각합니다.

책의 결말을 뒤집어봐도 작가가 제기한 질문에 대답으로 씌여진 문장은 발견할 수 없었습니다. 이제 생각해 보니 작가가 설정한 대답은 아마 질문에 포함되어 있었나 봅니다. 책을 차분히 읽지 않고 결론부로 성급히 뛰어 간, 독자의 '비겁함'에 대해, 이 헝가리의 문호 '산도르 마라이'는 이런식으로 조롱을 합니다. 할 수 없습니다. 나의 비겁함을 상쇄하고 '답'을 알기 위해서는 다시 한번 이 소설에 시간을 할애해야 겠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