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부자들
한상복 지음 / 위즈덤하우스 / 2003년 2월
평점 :
품절


최근 출판계에서 대박을 터뜨린 책들은 이른바 '부자되기'에 관한 책들이 많다고 한다. 그 첫번째 신호탄이 <부자 아빠 가난한 아빠> 시리즈라면 최근의 성공작은 이 <한국의 부자들>이란 책이라고 한다. 재밌는 것은 일반문학 등 다른 책과는 달리 이 '부자되기' 책들은 남성에게 많이 어필하고 있고, <한국의 부자들>도 내 주위 거의 모든 남성들의 손을 이미 거친 뒤였다.

아무래도 기획의 승리이다. 타고난 부자이거나, 연예인이 아니고 보통 사람에서 출발해 알부자가 된 사람들 백명의 케이스를 조사해서 책을 만들었으니 그 현실감과 실제의 예가 주는 재미가 아주 쏠쏠하다.

이 책을 읽어보니 부자에 대해 몇가지 공통점을 발견하게 됐다.

첫째, 부자는 처음부터 부자가 되고자 하는 욕구가 아주 강한 사람들이라는 점이었다. 현실에 만족하지 않고 '더, 더'를 외치며 그들 주변의 돈을 끌어 모으고, 투자를 해왔다는 점이다.

둘째, 한국의 부자들은 거의 예외없이 부동산 투자를 통해 성공했다는 것이다. 값싼 땅을 사서 가치가 오른 뒤에 처분했다거나, 개발 가능성이 많은 땅을 미리 사둔 뒤에, 그곳에 빌딩을 짓거나 적당한 투자를 해 이젠 고정적인 수입이 들어오게 했다는 것이다.

셋째, 부자는 예외없이 절약형 인간이라는 점이다. 지출할 때는 신중하게 한다. 그들도 명품을 좋아하는데, 그 이유는 명품이 오래가고 물건이 좋고, 가치가 있는 것이기 때문이지, 남에게 자랑을 하기 위함은 아니라는 사실이다.

넷째, 부자는 예외없이 자신이 부자임을 숨기고 싶어한다는 것이다. 이런 면에서 TV드라마에 등장하는 부자들 이미지는 굉장히 잘못돼 있다는 작가의 주장도 수긍이 간다. 저자의 주장에 따르면 돈이 많아서 가정은 화목하지 않다는 우리의 선입견도, 가난한 자들의 자기 위안에 불과한 것 같다. 부자가 자살하는 일은 거의 없다. 현대의 정회장을 떠올리는 사람이 있을지 모르나, 카드빚에 몰리고 생활고에 쫓겨 최후의 선택을 하는 사람들이 더 많은 것이 우리 실상이다.

실용서를 보통은 읽지 않는 나이지만, 이 책을 읽으면서 몇가지 반성을 하게 했다. 월급쟁이는 결코 부자가 될 수 없다는 평범한 사실을 잊고, 안이하게 살고 있었다는 점을 먼저 상기했다. 같이 이 책을 읽은 아내와는 우리도 절약형 삶을 살아보자고 다짐하며 '생활의 변화'를 추진하는 계기가 됐다. 한편으로 부자는 더욱 부자가 되고, 가난한 이는 더욱 궁지에 몰릴 수 밖에 없는 한국 자본주의 사회의 생생한 실상을 발견했기에 씁쓸한 느낌이 들었다.

결론적으로 이 책은 나와 우리 가족의 생활자세(특히 경제와 돈이라는 면에서)를 되돌아보는 계기가 되었기에, 오랜만에 읽은 실용서에서 나름대로 이득을 본 것 같다. 부자가 되려면은 월급을 모아서 부동산 투자를 해야 하는데 이런 관점에서 보니 노무현 정부가 내놓은 최근의 부동산 대책은 심히 못마땅하다고 말해야 할 것 같다.

참, 부자들의 공통점 중 한 가지를 말하지 않았다. 그들은 모두 성실하다. 나는 성실한가? 당신은 과연 성실한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