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월은 붉은 구렁을
온다 리쿠 지음, 권영주 옮김 / 북폴리오 / 2006년 3월
평점 :
절판


저는 가끔 엉뚱한 생각을 하는데 이를테면 다음과 같은 것입니다.

지금까지의 제 작품과는 스타일이나 소재가 완전히 다른 작품을 만듭니다. 저는 그 작품의 저자로 제 이름 대신 가명을 올립니다. 그 작품은 사람들의 찬사를 받으며 소문이 나기 시작합니다. 그런데 저는 제가 만든 것임을 알 수 있는 특별한 암호를 작품 속에 숨겨 놓습니다. 사람들은 그 작품이 저의 것임을 추측하며 그 진위를 파악하려 몹시 애쓰게 됩니다. 결국, 진실을 알아차린 사람들은 이토록 철저하게 다른 작품으로 건너 다닐 수 있는 저의 재능을 놀라워 합니다. 저는 끝까지 그 진위의 여부를 확인해 주지 않아 사람들을 답답하게 만들고, 사람들의 호기심 속에 그 작품은 아주 질긴 생명력을 갖게 됩니다.

온다 리쿠도 아마 이런 생각을 하며 [삼월은 붉은 구렁을]을 쓰지 않았을까 생각해봅니다.

정 체를 모를 미스터리 소설 한 권이 소문을 타고 있습니다. 작가는 이백 부 한정 판으로 책을 인쇄했는데 얼마 뒤 다시 그 책을 회수합니다. 그러나 이미 책은 사람들이 작가의 정체를 추측하게하는 은밀한 화젯거리가 됩니다. 그 책의 제목은 [삼월은 붉은 구렁을]이고 이러한 배경으로 이 책의 4부작이 전개되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러한 책이 있다는 공통점 외에는 4부작이 사실상 연결되어 있다고 보기는 어렵습니다. [삼월은 붉은 구렁을]이라는 제목을 화두로 여러 가지 이야기를 만들어 냈다는 게 정확한 설명일 것입니다.

1부에서는 '책이 있다.'라는 설정이고, 2부에서는 '책이 어디 있는지는 모른다. 그러나 작가를 찾는다.'라는 내용입니다. 3부는 '책이 존재하기 전, 소설이 쓰이게 되는 배경' 이 나오고 4부에서는 '책을 집필하고 있는 작가'의 입장에서 이야기가 펼쳐집니다. 1,2,3부 각각의 이야기가 완결성을 가진 미스테리로서 제 기능을 합니다. 그런데 4부에서 독자는 신선한 만남을 갖게 됩니다. 작가인 온다 리쿠의 글쓰기에 대한 생각이 마치 DVD의 감독 코멘터리처럼 들려오기 때문입니다.

 '그것은 영원한 꿈이다. 책을 덮고 나서도 책 밖에 지평선이 펼쳐지고, 어디까지고 바람이 불어갈 것 같은 이야기. 눈을 감으면 모자이크 같고 반짝반짝하는 단편들이 잔상처럼 뇌리에 되살아나는 이야기. 사랑과 인생의 수수께끼가 숨겨진. 손에 든 순간 묵직하게 무게가 느껴지는 열매 같은 이야기.'

이상의 내용이 이야기에 대한 온다 리쿠의 심상을 대변한 문장입니다. 실로 그녀의 작품을 시각적으로 정의한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그녀의 작품을 좋아하는 독자로서 [삼월은...]은 이렇게 작가와 대화를 나누는 농밀한 시간이었습니다. 그렇기에 [삼월은...]은 온다 리쿠의 팬이 아니고는 견디기 어려운 소설일 수 있습니다. 반대로 온다 리쿠의 세계에 이미 푹 젖은 저에게는 이 책은 마치 DVD 감독판 버전을 보는 느낌이었습니다.

이제 온다 리쿠를 시작할 독자에게는 우선 주의를 주고 싶습니다. 한 번 빠지면 온다 리쿠는 수렁처럼 당신을 끌어당깁니다.  각각의 작품에 다음 작품의 단초가 실려져 있어  그 다음 책을 구입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실제로 이 책은 [보리의 바다에 가라앉는 열매]를 낳았으며 또 [흑과 다의 환상]으로 이끄는 갈고리가 달려있습니다. 그러니 부디 조심하십시오. 온다 리쿠표 환상의 세계는 독자들에게 오래도록 사라지지 않을 향수를 안겨줍니다. (26/10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