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서른살 경제학 - 30대를 위한 생존 경제학 강의
유병률 지음 / 인물과사상사 / 2005년 7월
평점 :
품절
[서른 살 경제학]이란 제목을 보고 이 책을 읽었다면 당황할 수 있습니다. 서른 살 먹은 사람들을 위한 특화된 내용을 다루지는 않기 때문입니다. 서른 살을 훌쩍 뛰어넘은 제가 읽기에도 이 책은 흥미로웠고 유용했습니다. 그래서 삼십 대가 아니라고 이 책을 고르지 않는 것은 경솔할 수 있는 판단입니다.
대학에 다닐 때아주 재미없는 경제학 원론 수업을 들었습니다. 그 대문인지 경제에 대한 저의 지식은 고교시절 사회시간에 배운 정도에서 머무른 지 한참되었습니다. 그래서 우리 언론의 경제란에 꽤 중요하게 나오는 단어들, 예를 들어 출자총액제한이니 지주회사니 순환출자 같은 용어가나오면 왠지 숨이 턱 막이고 거리감이 생기곤 했습니다. 5월 초의 연휴를 맞아 작심하고 책을 꺼내 들었습니다. 덕분에 우리사회를 보는 시야가 밝아진 느낌이 듭니다.
[서른 살 경제학]은 아이러니하게도 '서른 살'이나 '경제학', 그 어느쪽에도 초점이 맞추어져 있지는 않습니다. 대한민국의 직장인들에게 한국 사회에서 경제적으로 생존하기 위한 기본적인 어휘들과 경향을 알려줍니다. 저자가 신문기자인 만큼 독자들의 눈높이에 맞추어 알기 쉽게 전달합니다. 이 책의 가장 큰 장점은 이런 '쉬운'방식을 택한 것이 아닌가 생각합니다.
저자는 앞으로의 한국 경제를 '저생산성', '양극화', 그리고 '고령화'라고 요약합니다. 한국 경제의 과거, 현재, 미래를 10km 정도의 고도로 비행하면서 일목요연하게 보여줍니다. 이런 조망을 통해 한국사회를 걱정하는 것이 아니라 독자들의 노후를 걱정해줍니다. 한국 사회 구조가 고도화되면서 필연적으로 찾아오는 증후들을 분석하고이후의 생존 방안을 정리해준 것입니다. 예를 들어 '부동산 투자'가 앞으로는 실리가 많지 않을 것이라는 것을 제시하며 앞으로의노후 자금 마련과 투자 방안에 대해 저자 나름의 해법을 정리합니다.
너무 쉽고 명확하게 단언을 내려 살짝 의심이 가기도 하지만, 이 책을 계기로 가정 경제나 한국 경제에 대해 좀 더 정확한 판단을 내릴 수 있는 한 걸음을 내디뎠다고 생각합니다. 경제 기사 읽기가 훨씬 수월해졌습니다.(19/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