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일간의 기적
아사쿠라 다쿠야 지음, 김난주 옮김 / 한즈미디어(한스미디어) / 2006년 3월
평점 :
절판


왜 우리는 빙의라는 소재에 열광하는 것일까? 


몸은 그대로인데 혼이 바뀐다는 빙의라는 소재는 하가시노 게이고의 [비밀]의 등장 이후 미스테리류 소설에 전면으로 부상한다.  [비밀]은 곧 영화로 만들어졌고 잇달아 그 아류작이 여기저기서 등장했다.  아마 우리에게는 자신의 캐릭터를 부정하고 새 출발하고픈 욕구가 있기에 '빙의'라는 소재에 열광하는지도 모르겠다. 많은 사람이 한 번 쯤은 '새로운 나'를 꿈꾸었을 것이고, 그런 공감의 가능성을 기대하며 문학이나 영화의 텍스트 속에서 완전히 주인공의 캐릭터를 변모시킬 수 있는 방안으로서 '빙의'라는 소재는 아직도 영향력을 발휘하는 것 같다.


전도 유망한 피아니스트였던 기사라기는 오스트리아 유학 도중 돌연한 총격전에 휩싸여 한 소녀, 치오리를 구한 대신 손가락하나를 잃게 된다. 부모를 잃고 기사라기와 동거하기 시작한 치오리는 3세 수준의 지적 장애가 있는 아이지만 기사라기의 영향인지 피아노에 천재적인 재능을 발휘하기 시작한다. 피아노를 포기한 기사라기는 일본으로 돌아와 치오리의  자선 공연을 주선하기 시작한다. 한 뇌 전문 요양소를 공연차 방문한 기사라기는 자신을 좋아했던 대학 후배를 만나는데, 그곳에서 난 헬기 사고로 그 후배와 치오리의 영혼이 뒤 바뀌게 된다.


이 소설은 구성에 허점이 있다. 엄연히 기사라기와 치오리의 얘기였던 소설이 중반 이후부터 치오리의 존재는 희박해진다. 갑자기 주인공이 바뀌어 말 그대로 치오리는 자신의 몸을 빌려준 채 소설의 후면으로 밀려난다. 때문에 전반부에 왜 그렇게 작가가 기사라기와 치오리의 관계에 대해 공을 들여 치중을 했는지 의아해지는 면이 있다. 백두산을 바라보고 등정했는데, 갑자기 우리는 한라산을 가야한다며 방향을 튼 것 같은 구성이다. 단지 4일 동안만 빙의 상태가 유지된다는 작가의 주장도 개연성은 없어 보인다. 꿈에서 그런 소리가 들렸다는 캐릭터들의 주장은 아무래도 독자에게는 설득력이 부족하다.


하지만 대단히 재밌는 소설이다. 작가가 제시한 치오리의 병명, [Servant Syndrome]이란 소재도 흥미롭고, 인간의 뇌에 대한 취재도 이 소설을 상당히 풍부하게 만들고 있다. ' 이사쿠라 다꾸야' 라는 일본의 신예작가의 작품인데 캐릭터와 에피소드의 풍부함은 이 작가의 미래를 기대하게끔 만들고 있다. 다만 소설의 플롯에는 더욱 숙련의 기간이 필요할 듯하다.


여름에 읽으면 서늘하고 따뜻한 감동이 찾아오는 미스터리이다. 실망하진 않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