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 위의 작업실
김갑수 지음, 김상민 그림, 김선규 사진 / 푸른숲 / 2009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김갑수의 글은 절 유혹합니다.


커피를 좋아하고 오디오를 좋아하는 시인. 그가 값진 오디오를 자랑하며 커피를 내려준다면 그 초대를 견뎌낼 재간이 없을 겁니다. 그를 개인적으로 알지 못하기에 그의 작업실인 '줄라이 홀'을 갈 수는 없지만, 그의 최근 작 [지구 위의 작업실]을 통해 간접적으로 구경할 수는 있었습니다.


일상과는 다른 비일상을 꿈꾸는 것이 생활고에 시달리는 서민의 바람일 것입니다. 그들이 여행을 꿈꾸고 새로운 사랑을 기대한다면 그것이 바로 비일상에 대한 그리움입니다. 우리의 삶이 이전보다 나아졌다면 '먹고 사는 것'을 넘어 '잘 사는 것'을 생각하게 되어서입니다. 김갑수는 바로 이런 비일상을 실현시키는 예로서 '그의 작업실'을 선보였습니다. 그리고 저처럼 김갑수란 문화인에 대해 흥미가 있는 사람에는 아주 좋은 구경거리였습니다. 무엇보다 비일상에서 일주일에 삼사일을 보내고 이틀을 집으로 귀가하는 그의 생활은 부러울 뿐이었습니다. 김갑수의 아내가 더 궁금해졌습니다.


다시 한번 말씀드리지만, 그는 저와 비슷한 것이 많습니다. 커피를 좋아하고, 오디오를 좋아하고, 책을 좋아합니다. 직접 원두를 사서 볶아 먹지는 않지만, 야외 촬영장에 드립 커피를 들고 다니는 몇 안 되는 연출일 것입니다. 비록 저가 기기이지만 오디오 룸을 꾸며 놓은 저는 병이 심하지 않은 오디오 파일이라 불려도 좋을 것입니다.


그런데 그의 책 [지구 위의 작업실]에는 그리 매력을 느끼지 못했습니다. 지독히 개인적이고 사변 적인 이야기를 '작업실'이란 희미한 주제로 이끌었는데 말의 유희가 지나칩니다. 오디오면 오디오요, 음악이면 음악이요, 커피면 커피요, 고독에 몸부림치는 중년의 치기 어림이라면 그것으로 곧장 글이 뻗었으면 좋았을 것입니다. 문장이 투박하더라도 내용이 충실하기를 바라는 것은 무리일까요. 작가의 개인적 삶이 제게 공명을 일으키지 못했습니다. 저는 그의 글을 좋아할 여지가 아주 많았는데도 말입니다. 그의 커피 향과 오디오가 향연이 제 가슴 속에 들어와 머물지는 않습니다. 


오디오의 판을 새로 짜느라 그 외의 시간을 허수아비처럼 돌아다니는 김갑수를 저는 좋아하지 않습니다. 방송과 강연을 통해 세상과 만나고 산다면 그 만남을 더욱 소중히 여겨주길 바랍니다. 그 짧은 만남이 삶에서 누리는 교양의 대부분인 관객이 많은데, 허깨비처럼 돌아다니고 말을 하고 글을 쓰는 것은 세상을 향해 사기를 치는 것일 수도 있음을 시인이 알아주길 바랍니다. 줄라이 홀 바깥에도 사람은 살고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