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은 시나리오, 나쁜 시나리오
토머스 포프 지음, 박지훈.윤용아 옮김 / 커뮤니케이션북스 / 2008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젠가 한 드라마 프로듀서가 시상식에서 다음과 같은 말을 남겼습니다. '좋은 대본 아래 나쁜 연출 없고, 나쁜 대본 아래 좋은 연출 없다.'라는 말이었습니다. 이런 표현이 나올 수 있을 정도로 영화나 드라마에서 대본의 완성도는 작품의 성패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칩니다. 그래서 연출가가 작품을 준비할 때 가장 신경을 쓰는 부분이 대본의 완성도입니다. 이 때문에 연출의 제1의 임무는 작가에게 도움을 주거나 대본에 기여하는 것이라고 저는 생각합니다.  


문제는 프로듀서로서 작가를 도와줄 수 있는 일의 범위가 제한적이라는 것이다. 유능한 PD가 작가와 대본을 위해 할 수있는 최선은 주로 실수와 실패를 막아주는 것입니다. 결국, 드라마나 영화를 재미있게 하는 열쇠는 작가 스스로 찾아야 합니다. '이 대본에 무엇이 문제이다 이것을 고쳐라.' 까지는 여느 PD도 할 수 있지만 '어떻게'에 대해서 안내할 수 있는 PD는 많지 않습니다. 이렇게 PD와 작가가 만나서 대본을 수정하는 과정과 비슷한 모습을 토머스 포프가 지은 [좋은 시나리오 나쁜 시나리오]를 읽으시면 목격하실 수 있습니다. 한 대본이 어떻게 좋은 작품으로 영상화되었는지, 어떤 점을 수정했다면 더 좋은 작품이 되었을지, 연출가 작가가 커뮤니케이션하는 모습을 참관하는 과정이 있다면 그것은 백만 금을 주고 참석할 만한 가치 있는 세미나일 것입니다. 실수를 막아주는 프로듀서와 명작을 창안해 낸 작가의 공동 수업을 듣는 것과 비견한 일입니다.


이 책의 작가 토머스 포프는 프로듀서 출신은 아닙니다. 작가의 시선으로 이미 영화화된 시나리오를 복기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좋은 프로듀서들의 목소리와 비슷합니다. 좋은 시나리오의 장점과 나쁜 시나리오의 단점을 골라내는데 그 안목이 높습니다. 안목이 높다는 것은 초보자에게 쉬운 가르침은 아니라는 것입니다. 지적의 수준이 높기에 초보자들이 느낌이 올 정도로 명확하고 짜릿짜릿한 가르침은 아닙니다. 그러나 경험자들에 포프의 지적은 가려운 데를 긁는 시원함이 있습니다.


덧붙여 명작과 졸작이 탄생하게 된  속사정을 들여다보는 즐거움이 있습니다. 뮤지컬의 고전인 1951년작 [Singin' in the Rain]이 제작자가 이미 가지고 있는  1920 ~30년대의 노래를 재활용하고자 기획되었다는 특별한 속사정은 놀라웠습니다. 스토리가 만들어지고 곡이 나온 것이 아니라, 주어진 곡에 스토리를 꿰맞춘이 말 되지 않는 기획을 베티 콤덴과 아돌프 그린 두 작가가 어떻게 명작으로 바꾸었는지 흥미진진한 뒷얘기가 그려져 있습니다.


초보자에게는 과한 책, 경험자에게도 쉬운 책은 아닙니다. 우선 이 책의 리스트에 오른 영화를 보고 한 편 한 편 작가의 분석을 따라 고민한다면 좋은 공부가 되리라는 점은 믿어 의심하지 않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