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섯 번째 사요코
온다 리쿠 지음, 오근영 옮김 / 노블마인 / 2006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학교 교육을 통해 시민을 양성하는 것이 오늘의 사회 조직이다. 그런데 언젠가부터 그 학교 교육은 맹목적인 것이 되면서 도무지 '왜'라는 질문을 하지 않고 모든이들이 입학하고 졸업한다. 과연 학교는 모든 학생들에게 정당한 곳일까? 만약 그 학교 교육을 통해서 단 한 사람이라도 '꿈'을 잃어버리고 일찍 도태되는 과정을 강요당한다면 그것은 올바른 제도일까?


위의 이야기는 온다 리쿠의 [여섯 번째 사요꼬]의 내용과는 한참 거리가 먼 이야기이다. 하지만 온다 리꾸의 소설을 읽고 많은 독자들이 반복해서 떠올리는 것은 학교라는 곳이다. 졸업생 가운데 선택받은 한 명의 사요꼬가 다음 대의 '사요꼬'를 지정한다. 지정받은 사요꼬는 학교 축제까지 자신이 사요꼬임을 숨기고 '주어진 임무'를 수행한다. 어느 해 새로 선택된 사요꼬가 활동을 개시하던 차에 또 다른 사요꼬가 등장한다. 공부 잘하고 예쁜 그 사요꼬는 과연 인간인지 도깨비인지 독자들을 알지 모를 공포감에 시달리게 하며 '사요꼬 전설'의 숨겨진 진실을 향해 인도한다.


그 과정을 통해 나는 꿈이 있는 학창생활을 만난다. 나의 학창 시절에서 결여되었던 것, 지금 학생들과 앞으로의 학생들에게 부족할 수 있는 것을 대신 경험한다. 맹목적이었던 우리의 학교와는 다르게 꿈과 이야기가 있는 학교가 그려지는 것이다. 그래서 온다 리쿠의 학교는 환상이 가득한 테마 파크이다. 신기루 같은 캐릭터, 사요꼬에 대한 작가의 결말이 100% 확실하지는 않다. 사건의 인과 관계가 분명히 밝혀지지 않은 부분도 있어, 독서를 끝낸 사람들도 다시 이야기를 생각해보게 한다.


역시 재미있는 것은 학교라는 배경이다. 내가 학생으로서 학교의 주인이라고 생각하지만, 사실 학교의 입장에서 학생은 손님일 뿐이다. 정해진 휴가 기간을 보내고 떠나는 관광객 처럼 우리는 학교에 애매한 흔적을 남긴 손님이었다. 학교 자체가 하나의 생물이라면 학생과 같은 드나드는 객들은 반가운 손님일까, 아니면 성가신 객일까. 작가는 이런 아이디어에 착안해서 [여섯 번째 사요꼬]를 쓰게 된 것 같다. 조금 전 문장은 스포일러에 가까우니, 더 궁금하신 분은 책을 읽어보시기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