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금술사
파울로 코엘료 지음, 최정수 옮김 / 문학동네 / 2001년 12월
평점 :
나이를 먹다 보니 저절로 주어진 지위가 있습니다. 이제 부모가 되었고, 선배가 되었고, 상급자가 되었습니다. 때로는 '선생님'이라고 불리는 때도 있습니다. 이런 칭호를 들으면서 제 이름값을 잘하고 있는지 모르겠지만, 기회가 오면 빠뜨리지 않고 어린 사람에게 해주는 말이 '꿈을 추구하라.'는 것입니다. 장래를 설계하는 어린 사람들은 종종 자신이 '꿈'을 추구하는지, '돈'을 추구하는지 헛갈립니다. 그렇게 '돈'을 추구하던 사람은 먼 미래에 자신이 '꿈'을 쫓지 않았기에 상실감을 느낍니다. 다시 꿈을 추구하고 싶지만, 이제는 '세월'의 제약에 걸려 후회합니다. '가지 않은 길'에 대한 미련이 그가 삶을 통해 남을 것입니다. 언뜻 길에서 놓쳐버리고 말을 걸지 못한 이상형에 대한 그리움처럼 가슴 한편에 쓸쓸함으로 남을 겁니다.
[연금술사]는 이렇게 꿈을 쫓는 사람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꿈을 쫓았기에 한 양치기 소년은 그가 상상하지도 못한 세계에 발을 디딥니다. 꿈을 쫒았기에 그는 정신적으로 육체적으로 성장합니다. 그런데 이 이야기를 제가 재미있게 여긴 것은 다음 두 가지 때문입니다.
먼저 주인공 산티아고가 만난 두 명의 여인 때문입니다. 양치기 시절 그의 이상형 여인은 모직 가게 상인의 딸이었습니다. 산티아고의 연인은 자신의 보물을 찾아 떠난 후 사막의 오아시스에서 만난 '파티마'로 바뀝니다. 사람이 성장하면서 그의 평생의 연인이 바뀌듯 꿈도 진화한다는 것을 이야기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또 하나는 꿈을 추구하는 과정에서 산티아고는 도중에 지금까지 이룬 성과에 빠져 여행을 멈출까하는 유혹을 받는다는 것입니다. 양치기 소년 시절과는 비교하지도 못할 돈과 명예, 사랑을 얻었기에, 그는 여기서 멈출까하는 내면의 유혹을 듣습니다. 그런 유혹에 굴복했다면 산티아고는 마지막 성과, 즉 '자아의 신화'를 발견하지 못했을 것입니다.
꿈을 쫓고자 하는 사람에게는 용기를 주는 책입니다. 꿈을 포기한 사람에게는 씁쓸함을 안겨줍니다. 너무 늦지 않았다면 다시 꿈을 쫓아봐야 할 것 같습니다. 연인 파티마가 오아시스에서 이집트로 떠나는 산티아고를 붙잡지 않았듯이, 제 꿈을 쫓는 것을 막은 사람은 아무도 없었기 때문입니다. 제가 이 상태에서 머문 것은 결국 저 스스로의 안주하고 싶은 마음 때문이었습니다.
코엘료의 [연금술사]는 새로운 이야기를 들려주지는 않습니다. 그러나, 누구나 다 알고 있지만, 가슴에 묻어 놓은 뼈아픈 생각을 다시 꺼내놓습니다. 신화 같은 이 이야기를 곱씹어 읽어보면, 어느새 독자는 자신에게 질문하고 있습니다. 나는 '자아의 신화를 이루는 자신에게 부과된 의무를 이행하고 있는지', 다시 묻고 있습니다.
신고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