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립학교 아이들
커티스 시튼펠드 지음, 이진 옮김 / 김영사 / 2006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사람들은 지나고 난 뒤의 시간을 그리워하고 애틋해 한다.
비록 좋지 못한 사건이 있는 기억이라 할지라도, 그것은 이미 지난 시간이어서
그 역시 좋은사건과 같이 하나의 추억이 된다.
추억을 떠올리는 사람의 표정을 가~만히 관찰하다 보면 눈이 반짝 반짝 미소를 머금은
표정이 있는가 하면, 씁쓸레한 미소를 짓는 사람도 있다.
아마 후자가 많지 않을까?
.
'사립학교아이들'은 우리의 많은 추억 중에 고등학교 학창시절의 추억을 들춰낸다
청춘이라는 말을 사전에서 찾아보면 '새싹이 파랗게 돋아나는 봄철' 이라고 되어있다.
뭐..'젊고 건강한 시절' 이라는 무미건조한 뜻도 있지만 왠지 앞 문구가 청춘을 잘 표현한 거 같다.
새싹이 파랗게 돋아나는 봄철을 주인공 '리'의 인생으로 느껴본 맛은
달큼하면서도 씁쓸한 맛이었다.
나의 봄철과 같은 맛..
.
한권의 책에 학창시절의 감정이 고스란히, 꼼꼼하게 잘 녹아있다.
사립학교의 화려함과 폐단, 아웃사이더, 인종문제, 사랑(동성애도), 우정, 스승, 부모와의 갈등,
배신, 눈물, 즐거운 이벤트 (스티커를 붙여서 사람을 죽이는 이벤트 괜찮더라, 나도 함 했으면..).
특히 '리'의 마음속을 들여다보는 재미는 쏠쏠하다.
공감가는 생각도 많고.
그 공감가는 무수한 감정 때문에 나는 '리'와 같이 씁쓸했고, 두근거렸고, 웃고, 울었다.
나의 지나간 고등학교 학창 시절의 감정을 다시 느꼈던 것이다.
비록 한국의 일반 고등학교와는 다른 성향이 많지만는 그게 뭐 대수인가?
세상사람들의 청춘이 닮은 꼴인 것을 겪어봤던 사람들은 다 알지 않는가.
.
나는 지금 인생의 여름 , 20대이다.
풋내나는 파릇한 청춘은 지나갔지만 아직 나에게는 싱싱하고 건강한 청춘이 남아있다.
그리고 가을, 겨울의 인생인 농 익은 청춘도 많이 남아있다.
분명 남은 청춘도 달큼하면서 씁쓸한 맛이게다.
..............나는 그 맛이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