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올가미
페퇴피 산도르 지음 / 춘추원 / 1992년 6월
평점 :
품절
별로 고른다는 느낌없이 집어가지고 온 책인데 오늘 오며 가며 틈틈히 다 읽어버렸습니다. 세렌더피티~ 가끔 요즘의 번역책을 읽다보면 거친 느낌을 받을 때가 많습니다.(출판사를 따지는 이유가 선명해지는 순간이지요..) 이런 얘기를 하는 까닭은 오히려 옛날 판이 더 담백하고 매끈한 번역일 때가 있고 이 책이 그렇다는 것이지요. 에밀 아자르의 '자기앞의 생'이 그랬고, 피츠제럴드의 '위대한 개츠비'가 그랬습니다.. 짧고 단순하고 깨끗한 문장과 표현, 설화같은 줄거리. 26년을 살다간 페퇴피 산도르의 훌륭한 문학성을 저도 조금은 느낄 수 있었습니다^^;
'순결한 첫사랑이 찢어지면서 세파의 틈바구니에서 결국 자살로 생을 마친 한 헝가리의 여인과 이로 인해 40년을 서로 처절하게 할퀴고 파멸시키며 복수의 삶을 살아야 한 불행했던 두 남자의 이야기'
주인공 안타라치아는 사랑하는 여인을 오랜 우정을 나눈 친구(테르네이) 때문에 잃게 됩니다. 그는 오랜 시간 방황의 세월을 보냅니다. 극빈자의 생활을 통해 겨우 목숨만 이어가던 그에겐 오직 옛여자가 낳은 아들만이 살아갈 이유가 됩니다. 도박으로 상황을 역전시킨 그는 고향에 돌아가 테르네이의 재산을 모조리를 따게 되고, 이후 시간이 흐르며 안타라치아는 안락함에 젖어들어가며 생의 기쁨을 차츰 놓치게 됩니다.
아들이 성장하자 정열적인 젊은이가 되었고 아름다운 여인을 동무에게 빼앗기게 되자 그 동무를 죽이게 됩니다. 올가미에 목이 매달려 아들은 사형당하게 되고, 아들의 여인이 테르네이의 딸이라는 것을 알게된 그는 오랫동안 방황의 시간을 보냅니다. 훗날 그의 증손자에게 황금으로 유혹하여 파멸의 길로 보내는 안타라치아...이렇게 죽은 테르네이에게 다시 한번 복수하는 장면으로 끝이납니다.
왜 안타라치아의 상황역전에 도박이라는 것을 유리하게 내세웠는지는 궁금해집니다. 보통은 주인공이 피땀흘려 노력하거나 선량한 성품이 불러온 행운이 어려움을 극복하게 해주지 않던가 말입니다. 아마도 이 이야기가 해피엔딩이 아니어서 인건지.. 아들을 죽게 한 올가미의 원형은 안타라치아의 원한이었습니다. 그 올가미는 테르네이 증손자에게 옮겨가 그를 죽게 합니다. 하지만 올가미에 매달은 건 안타라치의 삶의 존재가치였고, 바로 인간의 어리석음이 올가미가 되어 인생을 망쳐버린다는 이야기를 하고 있었습니다.. 자신의 삶에서 어떤 것을 바탕으로 살아갈 것인지는 자신에게 달려 있는 것 같습니다. 흥미로운 책이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