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밤은 길고, 괴롭습니다 - With Frida Kahlo ㅣ 활자에 잠긴 시
박연준 지음 / 알마 / 2018년 5월
평점 :
프리다칼로를 평소에 좋아했기때문에 좋아하는 작가의 그림을 시로 과연 표현될 수 있을까가 의문이었다.
아무래도 프리다칼로, 그녀만의 그림을 시로 표현하기에는 약간 섣불러보일 수 있기때문에 그녀의 그림의 아름다운이 퇴색되지 않을까 걱정이 되었던게 사실이다. 첫장에 나오는 "옛날에 살았던 귀신은 아름다워라. 옛날에 움직이던 손은 아름다워라" 프리다의 말처럼 아름다웠다. 그녀의 병마와 싸우면서 그녀가 숭고하게 지켰던 그림을 향한 열정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 같았다.
작가는 먼저 자신의 글에 자신이 이 책을 통해 표현하고자 하는 내용을 적었다. 진솔하면서 오해가 될 수 있는 부분은 먼저 집고 넘어갔다. 그녀는 시와 그림의 공통점을 이야기했지만 또한 이것이 서로의 영역에 침범될 때 초래할 수 있는 문제점을 이야기했다. "그림은 말하지 않는 시, 시는 말하는 그림"이라고 말한 시모니데스의 말을 통해 용기를 내어 이 책을 썼으면 독자에게 미리 알렸다. 그러기에 그녀의 도전에 궁금하고 걱정이되었다.
작가는 프리다칼로를 시의 영토에 묻힌 영혼이라 비유했다. 그녀는 비록 고통스러운 삶을 살았지만 그만큼 고통을 초월한 아름다움을 보여주었다.그리고 나는 그녀의 최우선이 그녀를 평생토록 아프게했던 건강이 아니라 사랑이라는 점도 그녀의 작품에 매료된 이유이기도 하다.
총 4부에 걸쳐 이야기하고 있는 내용은 작가 박연준의 이야기도 함께 담겨있다. 프리다의 부모는 프리다와 디에고의 사랑을 코끼리와 비둘기의 결합이라이야기했다. 이는 서로 다른 종을 사랑하는 일이고 이것이 고독이라고 한다. 누군가는 사랑을 함에도 고독한 사람, 이는 프리다 그녀의 사랑을 이야기하는것이라 생각이 든다. 작가는 프리다칼로의 그림을 처음 본 순간 한 방 제대로 맞았다라고 생각했다고 한다. 그리고 그건 나역시도 마찬가지였다.
말 이전에 보는 행위가 있다. 아이들은 말을 배우기에 앞서 사물을 보고 그것이 무엇인지 안다.
그리고 나는 프리다의 그림을 보고 이러하게 느꼈다. 그녀의 그림이 아픔속에 피어난 아름다움, 아니 처절한 외침이 들려왔다.
작가의 그림에 대한 시로의 번역은 내가 프리다의 그림을 보고 느꼈던 것과 크게 다르지 않았지만 직접 시로 읽으니 그림으로에서 느꼈던 것 보다 더욱 더
생생하게 느껴졌다.
당신이 내게 오셔도
몰라요 앵글의 공표를, 밖을 향해 기어가는
피의 속도를
위선이 아니라
체념이 아니라
나는 그냥 상처의 새끼예요
프리다를 단지 상처의 새끼라 표현하는 작가의 시에 나도 모르게 울컥했다. 고통이 느껴졌고 그녀의 아름다움이 느껴졌다.
프리다칼로를 평소에 좋아했기때문에 좋아하는 작가의 그림을 시로 과연 표현될 수 있을까가 의문이었다.
아무래도 프리다칼로, 그녀만의 그림을 시로 표현하기에는 약간 섣불러보일 수 있기때문에 그녀의 그림의 아름다운이 퇴색되지 않을까 걱정이 되었던게 사실이다. 첫장에 나오는 "옛날에 살았던 귀신은 아름다워라. 옛날에 움직이던 손은 아름다워라" 프리다의 말처럼 아름다웠다. 그녀의 병마와 싸우면서 그녀가 숭고하게 지켰던 그림을 향한 열정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 같았다.
작가는 먼저 자신의 글에 자신이 이 책을 통해 표현하고자 하는 내용을 적었다. 진솔하면서 오해가 될 수 있는 부분은 먼저 집고 넘어갔다. 그녀는 시와 그림의 공통점을 이야기했지만 또한 이것이 서로의 영역에 침범될 때 초래할 수 있는 문제점을 이야기했다. "그림은 말하지 않는 시, 시는 말하는 그림"이라고 말한 시모니데스의 말을 통해 용기를 내어 이 책을 썼으면 독자에게 미리 알렸다. 그러기에 그녀의 도전에 궁금하고 걱정이되었다.
작가는 프리다칼로를 시의 영토에 묻힌 영혼이라 비유했다. 그녀는 비록 고통스러운 삶을 살았지만 그만큼 고통을 초월한 아름다움을 보여주었다.그리고 나는 그녀의 최우선이 그녀를 평생토록 아프게했던 건강이 아니라 사랑이라는 점도 그녀의 작품에 매료된 이유이기도 하다.
총 4부에 걸쳐 이야기하고 있는 내용은 작가 박연준의 이야기도 함께 담겨있다. 프리다의 부모는 프리다와 디에고의 사랑을 코끼리와 비둘기의 결합이라이야기했다. 이는 서로 다른 종을 사랑하는 일이고 이것이 고독이라고 한다. 누군가는 사랑을 함에도 고독한 사람, 이는 프리다 그녀의 사랑을 이야기하는것이라 생각이 든다. 작가는 프리다칼로의 그림을 처음 본 순간 한 방 제대로 맞았다라고 생각했다고 한다. 그리고 그건 나역시도 마찬가지였다.
말 이전에 보는 행위가 있다. 아이들은 말을 배우기에 앞서 사물을 보고 그것이 무엇인지 안다.
그리고 나는 프리다의 그림을 보고 이러하게 느꼈다. 그녀의 그림이 아픔속에 피어난 아름다움, 아니 처절한 외침이 들려왔다.
작가의 그림에 대한 시로의 번역은 내가 프리다의 그림을 보고 느꼈던 것과 크게 다르지 않았지만 직접 시로 읽으니 그림으로에서 느꼈던 것 보다 더욱 더
생생하게 느껴졌다.
당신이 내게 오셔도
몰라요 앵글의 공표를, 밖을 향해 기어가는
피의 속도를
위선이 아니라
체념이 아니라
나는 그냥 상처의 새끼예요
프리다를 단지 상처의 새끼라 표현하는 작가의 시에 나도 모르게 울컥했다. 고통이 느껴졌고 그녀의 아름다움이 느껴졌다.

고통의 중심이 살을 좀먹으며
안착한다 내 영혼에
십자가에 못 박힌 건 내가 아니다
십자가가 내게 와 박혔다
투명하고, 아름다운 십자가가 계속
내 속으로 이양되려는 것
아파서 입을 벌릴 수조차 없다
손을 놓으며
내 하반신은 날아가리라
그녀가 원하지 않았던 고통이 그녀를 덥쳤을 때 그녀는 아무것도 할 수 없었다. 손을 놓으려 할 수 없는 그녀의 고통이 느껴진다.

정말 나를 힘들게 하던 게 결국엔 내 몸에 배어, 내게 영향을 미치고, 삶은 변화시키는 것 같아.
나를 지불하지 않고는 얻을 수 없는 것들
결국 그게 귀한 거야.
프리다는 고통을 통해 그녀만의 세계를 만들었다. 사랑을 했지만 배신을 당했다. 그리고 그 실연에 실패한 사랑을 한평생 그림으로 사랑했다.
프리다 칼로는
한 평생 고통과 친구였던 사람이었다. 그녀에게는 항상 고통이 따랐고 죽음이 함께했다. 세상 모든 이들이 태어나면서 죽음과 함께 태어나지만 그렇지만 그녀에겐 죽음은 언제 찾아올지 모르는 적같은 존재였다. 그리고 그런 고통과 죽음을 버티고 막을 수 있는 힘이 아마 사랑에 있다고 생각이 들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