좌절의 기술 - 철학은 어떻게 삶을 버티게 하는가
윌리엄 B. 어빈 지음, 석기용 옮김 / 어크로스 / 2020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철학이 다루는 것은 ‘삶의 기술‘이어야 한다.



인생에서 좌절은 피할 수 없고 좌절을 대하는 우리의 태도만을 바꿀 수 있다.



삶의 다양한 형태에 대해 우리는 때때로 남들과 비교하면 좌절하고 위안받곤한다. 나의 삶을 타인의 삶에 비추어 바라보면서 나의 삶을 타인의 삶과 비교한다. 경쟁이 만연한 시대에 살면서 우리는 끊임없이 자아와 타자를 비교하는데 익숙해졌다. 물론 고난이나 역경에 있어 회복탄력성이 충분한 이들은 이런 좌절감에 쉽게 노출되는 환경 속에서도 자아를 지키며 쉽게 좌절하지 않고 영향을 받지 않는다. 하지만 그렇지 못한 이들은 쉽게 좌절하고 부정적인 감정을 쉽게 컨트롤하지 못하고 결국 동일한 난관에 부딛쳐도 벗어나지 못하고 쉽게 포기한다. 그리고 이런 좌절의 상황에 대해 ‘스토아‘ 철학은 좌절을 이겨내는 삶의 기술들을 제시한다. 이 책에서는 ‘스토아‘ 철학의 삶의 기술들을 적용해 다양한 삶의 상황들 속에서 좌절감을 극복하고 삶의 질을 높이는 방법들을 소개한다.



이 책에서 소개하는 ‘스토아‘ 철학을 기반으로 한 좌절에 대처하는 기술은 크게 두가지로 앵커링 효과와 프레임 효과를 이용해 소개한다. 앵커링 효과는 부정적 시각화라는 말로 표현할 수 있는데 사람은 하나의 부정적이 이미지가 박히면 그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좌절을 스치듯이 생각해보는 것 또는 최악의 상황을 미리 상상해 보는 것을 통해 좌절에 대처할 수 있다. 프레임 효과는 좌절감 같은 부정적인 감정들이 우리의 잠재의식에서 유발되는 것으로 이런 부정적인 감정들을 유발하는 프레임 속에 사건들을 넣지 말고 의식적으로 새로운 프레임에 넣는 것을 통해 부정적 감정을 약화시킬 수 있으며 좌절에 대처할 수 있다. 즉 좌절감이 느껴질 때 우리는 좌절의 상황에 대해 깊게 생각하지 않고 의식적으로 새로운 프레임 속에 짚어넣음으로써 이를 대처하고 극복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좌절 직후 5초 간이 매우 중요하며 좌절을 겪을 때 가장 먼저 좌절감 같은 부정적 감정들이 나의 감정들을 잡아먹는 것을 막아야한다. 그래서 좌절을 느꼈을 때 좌절 직후 5초 이내 그 사건을 스토아 철학에 기반한 소토아의 모험, 시험이라 바라볼 때 실패를 좌절하기 보다는 장애물로 여기고 극복할 수 있다. 또한 불편이 때론 편안에 이르는 길이 될 수 있으며 불편할 때 우리는 그 불편을 그저 부정적으로만 취급하고 이를 또 다른 에너지로 바라보기 보다는 이런 경험들이 우리는 더 큰 기쁨을 맛볼 수 이으며 기쁨을 얻는 능력을 기를 수 있다. 따라서 이 책에서는 고난이 닥쳤을 때 가장 최악의 상황을 미리 상상해 좌절이 주는 충격을 낮추고 좌절을 부정적인 프레임으로 봐라보기 보다는 부정적인 감정들을 벗어낼 수 있는 새로운 프레임을 통해 바라보며 좌절을 당했을 때 하나의 시험이라 생각하고 하나의 도전적인 상황으로 생각하고 극복할 수 있다는 마음을 가지고 불편과 고난, 난관들이 두려움이 아닌 하나의 편안으로 이르는 길이 될 수 있음을 인지함으로써 우리는 좌절을 극복하고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다.



삶을 바라보는 태도는 다양하지만 삶의 역경과 고난은 언제든 닥치기 마련이니 이런 좌절을 극복하는 기술을 스토아 철학을 통해 배워서 이런 어려움이 생겼을 때 우리의 회복탄력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으로 알아두면 좋을 것 같다. 어려움 가운데 있는 이들에게 좌절을 새롭게 바라보고 좌절을 이겨낼 수 있는 극복 에너지를 알려주는 이 책을 추천하고 싶다. 삶을 질을 높이며 좌절을 바라보는 새로운 시각을 알려주는 짧지만 유용한 책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