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파민형 인간 - 천재인가 미치광이인가
대니얼 Z. 리버먼.마이클 E. 롱 지음, 최가영 옮김 / 쌤앤파커스 / 2019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도파민형 인간




흔히 ‘중독자‘라는 이미지에 떠오르는 호르몬이 있다면 아마 ‘도파민‘이라는 호르몬일 것이다. 비록 우리가 생물학에 전혀 관심이 없다고해도 ‘도파민‘ ‘아드레날린‘ 같은 이름의 호르몬은 어디선가 들어봤을 것이다. 그리고 아마 도파민이라는 호르몬을 들어본 것은 주로 연쇄 살인자, 도박중독자, 알코올중독자 등등의 범죄자의 심리 분석이나 이와 관련된 기사에서 들어봤을 것이다.


그럼 이처럼 도파민이란 대체 무엇이기에 중독, 쾌락이라는 단어가 잘 어울리는 호는몬이 되었을까? 처음에 도파민은 노르에피네프린(아드레날린 중 뇌에서 작용하는 화학물질을 구분)이라는 화학물질의 체내 합성을 돕는 물질로서 여겨졌다. 하지만 실험을 통해 인간이 도파민 호르몬이 분비되었을 때, 쾌감을 느끼게 된다는 사실이 발견되면서 ‘쾌락분자‘라는 이름을 갖게되었다.





도파민은 주요 생산지는 복측피개영역이라는 곳으로 욕망또한 이곳의 심층부에서 생겨난다. 이곳의 긴 꼬리의 뇌세포들이 활성화되면 꼬리 끝에 달린 주머니가 열리면서 도파민을 측좌핵에 분비한다. 그리고 이것이 의욕의 기전이라고 할 수 있다. 이 도파민 회로가 욕망 (생존과 번식에 관한)을 불러일으키면서 도파민이 욕망을 불러일으키는데 역할을 하는 것이며, 더 많은 것, 더 자극적인 것, 더 놀라운 것에 미치게 하는 도파민 호르몬이 쾌락호르몬이라고 불리는 이유이다.


그런데 도파민이라는 호르몬이 마냥 파멸적인 쾌락만을 추구하는 부정적인 호르몬일까? 도파민의 욕망회로는 분명 무언가를 한없이 원하게 만든다. 그래서 더 자극적인 것을 추구하게 만든다. 하지만 신기하게도 도파민회로는 한 화학물질이 반대되는 2가지 작용을 적용을 모두 할 수 있다. 즉, 원시적인 욕구만 추구하는 욕망회로와 대립되는 또 다른 도파민 회로가 있어서 ‘계획‘이라는 걸 세울 수 있다. 그래서 우리는 도파민이라는 호르몬을 마냥 부정적으로 볼 수 없는 것이다.  



[도파민형 인간]에서는 도파민이란 무엇이고 어떤 역할을 하며 도파민형 인간을 어떻게 정의해야될까에 대해 다양한 실험과 뇌과학적, 심리학적 분석과 함께 설명한다. 원래부터 나는 뇌과학분야에 관심이 많아서 이 책을 읽게 되었는데 막상 읽어보니 실험적 학문적 용어도 많아서 읽기가 쉽지는 않았다. 하지만 이 책을 읽기전 마냥 도파민 호르몬은 부정적이라는 편견이 있었는데 이 책을 통해 도파민의 이면을 알 수 있어서 무언가를 원하게해 파멸적 쾌락을 추구하기도하지만 인간이 무언가를 이루기 위해 노력하도록 응원하고 채찍질하는 것또한 도파민 호르몬이라는 사실을 알게되어 도파민에 대한 이전의 편견은 없어지고 긍정적인 호기심이 생겼다.


분명 읽기에 쉬운 책은 아니지만 어려운 만큼  더 알고싶어지는 매력적인 책이었다. 이 책을 읽으면서 도파민과 사랑, 도파민과 중독, 도파민과 파멸, 진화, 중독, 성취 등... 도파민 호르몬의 참 모습을 알 수 있었고 도파민형 인간은 천재일지 미치광이일지, 그들은 무엇을 추구하는지에 대해 그리고 그들에 대한 오해와 편견을 바로잡을 수 있었다. 또한 우리의 진화와 번영에 도파민이 어떤 역할을 해왔는지도 알 수 있었고 동물과 인간 모두 도파민 호르몬이 있지만 그 차이는 무엇으로 부터 생겨나는지도 알 수 있었던 생물학적으로도 인류학적으로도 알 수 있었던 책이었다. 이 책을 뇌과학, 특히 호르몬을 통해 인간을 무엇으로 이야기할 수 있을지 궁금하신 분들께 추천하고싶다. 다양한 실험과학, 뇌과학에 관심 있으신 분들께 추천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