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묘한 러브레터
야도노 카호루 지음, 김소연 옮김 / 다산북스 / 2019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기묘한 러브레터>


미스터리 소설하면 대표적인 나라 중 하나로 일본이 떠오르는데 <기묘한 러브레터>도 일본출신 야도노 카호루의 저서이다. 일본 미스터리 소설을 좋아해서 유명한 작가분들은 거의 다 알고 있는데 이름이 낯설어서 찾아보니 신인 작가인 것 같다. 현재 일본에서 떠오르는 신예작가같은데 책 앞장의 저자 소개란에는 '복면작가'라고 적혀있는데 그 이유는 글쎄, 반전을 좋아해서 붙은 별명인가, 잘 모르겠다. 하여튼 <기묘한 러브레터>는 절대 결말을 먼저 보면 안되는 작품이다.

이 책은 서간체 소설로 한남자와 한여자의 페이스북 메세지의 내용이 서로 교차되면서 내용이 전개된다. 이 책은 처음에는 평범하게 한남자가 예전의 연인에게 그 당시의 사랑을 추억하며 보내는 듯 하지만 점점 뒤로 갈수록 무언가 이상하다는 느낌이 든다. 결혼을 약속하고 홀연히 사라져버린 여자에게 30년만에 남자가 연락하는 듯 그저 평범한 남녀의 사랑을 추억하는 이야기인 것 같지만 두 남녀의 대화를 읽다보면 점점 무섭고 기묘한 느낌이 든다.

그러다 남자가 "괜찮으시다면 당신의 주소를 가르쳐주실 수 있을까요? 어디에 살고 계시는지 정도는 알고 싶다는 단순한 마음입니다."라는 문장을 읽을 때부터 뭔가 미묘하고 어색한 느낌이 든다. 이 책은 처음에는 조금 지루했는데 중반부로 갈수록 긴장감과 왠지모를 기묘함 때문에 중반부부터 결말까지 단숨에 읽어버렸다. 그리고 결말을 읽고난 후 정말 허무했다. 결말이 아 그럴수도 있겠다하면서도 "정말 이게 끝이라고?"라는 생각이 든다.

정말 끝까지 읽다보면 어디로 결말이 튈지 종잡을 수 없는 느낌이 든다. 이 책 소개란에 "도저히 다음 수를 읽을 수 없는 전개! 롤러코스터처럼 달려가는 충격의 결말!"이라는 문구가 있는데 읽고 나니 정말 이 말이 공감된다. 그리고 다 읽고나니 왜 초반에 남자가 여자가 답장을 주지도 않는데, 1년 있다 또 보내고 또 몇개월 있다가 보냈는데도 여자가 왜 답장한장 없는지, (한 때는 사랑했던 남자이자 결혼까지 약속했던 남자인데) 답장하지 않았는지 결말을 읽고나니 알 수 있었다. 결말이 도저히 매력적이라고는 볼 수 없지만 그래도 몰입력이 좋았던 작품이었다.

미스터리 소설을 좋아하는 독자들이라면 한 번 도전해보는 것도 좋겠지만 작가가 주는 떡밥을 챙기면서 하나하나 조각을 맞춰나가는 미스터리 소설을 읽고 싶은 독자라면 별로 일 수도 있을 것 같다. 그래도 독특한 서간체형식이고 긴장감이 늘어지지않고 몰입력이 좋았고 가독성도 좋아서 가볍게 즐길 수 있는 소설인 것 같다. 만약 이 책을 읽는다면 혹여 결말의 반전이 궁금해서 결말부터 먼저 읽지는 않길 바란다. 만약 그렇다면 이 책의 중간 부분을 읽게 될 일은 없게 될테니. 독특한 형식과 반전의 허무함을 가진 소설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