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X - 남자 없는 출생
앤젤라 채드윅 지음, 이수영 옮김 / 한즈미디어(한스미디어) / 2019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생식 과정에서 더 이상 남자가 필요없어지게 된다면 우리의 인류는 어떤 변화가 일어날까? 냉철하고 도발적인 이 책은 자손번식이라는 인류의 욕구에서 더이상 남자가 필요없어지게 될지도 모른다는 그 시작의 처음의 모습을 보여주는 작품으로 과학적인 문제와 사회적인 문제를 교묘하게 결합시킨 미스터리 SF스릴러이다.


이 책은 제목부터 강렬하고 독특하다. XX는 흔히 여성을 가르킨다. XY인 남성이 태어나려면 반드시 남성의 Y염색체가 필요하다 하지만 여성은 X염색체끼리의 결합이기 때문에 여성만의 생식과정으로도 자손을 번식할 수 있지않을까하는 그런 상상력을 바탕으로 이 책은 과학의 기술발달이 가져온 변화들에 대해 진지하게 생각하게 한다.


이 책은 퀴어 문제, 동성애자의 문제를 다루는 동시에 과학기술발달에 따른 명암을 다룬다. 이 책의 주인공은 레즈비언 줄스로 그녀의 애인인 로지와 12년째 함께 살고 있으며 로지는 대리모를 2번이나 했을 정도로 아이를 좋아한다. 그리고 줄스는 이런 로지를 위해 세계 최초의 난자 대 난자 인공수정 임상시술에 지원하게 된다. 그리고 임신에 성공한다. 하지만 기쁨도 잠시 그녀들은 비공개로 진행한 임상수술에서 그녀들이 임상수술 대상자라는 것이 밝혀지면서 한순간 그녀들은 모두의 주목을 받게 된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여성이자 동성애자로서의 차별의 모습들이 고스란히 보여지게 되는데 솔직히 적나라하게 동성애자에 대한 냉혹한 시선을 그대로 보여주면서 이 책을 읽기 전에는 단순히 독특한 소재를 가진 SF소설이라고 생각했는데 이 책을 읽고 나니 사회적인 동성애자에 대한 차별과 가짜뉴스의 부적절성등 사회적 문제를 꼬집은 SF장르를 바탕으로 한 사회비판적 소설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처음에는 이 책을 단순히 생식 과정에서 남성들이 배제되고 여성들만 존재하게 된다면 어떨까하는 그 상상력이 흥미로워 읽게 되었는데 읽으면 읽을 수록 SF소설이라는 탈을 쓴 채 현재 우리사회의 문제를 비판적으로 다룬 소설이었다. 이 책을 읽을 때는 그리 어렵지않다. 이 책은 난자 대 난자 인공수정이 가능해진 사회가 도래하게 된다면을 전재로 한 SF소설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 책의 내용을 우리의 현실 사회와 결부시키면 이 책은 말 그대로 우리 사회의 복합적인 현실문제를 담고 있다.


과학기술의 발달이 하루가 다르게 발전하고 기술 공학뿐만아니라 생명 공학에 있어서도 빠르게 변화하는 만큼 이 책에서 다뤄질 문제는 더이상 현실성이 없는 이야기라고만 할 수는 없을 것 같다. 과학 기술의 발달이 가져오는 부과적인 문제인 성의 윤리에 관한 문제들이 이 책을 읽으면서 더 구체적이고 진지하게 다가왔다. 이 책을 단순히 독특한 소재의 SF소설이라는 점에 끌린 분들뿐만아니라 과학기술의 발달과 그에 따른 사회문제에 관심있는 분들께 추천하고 싶다. 현실의 페미니즘 문제, 퀴어 문제, 가짜뉴스 문제등이 다양하게 담겨 있는 SF소설의 탈을 쓴 사회비판적 소설인 <XX>를 추천하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