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요 - 조선왕조실록 기묘집 & 야사록
몽돌바당 지음 / 지식과감성# / 2017년 11월
평점 :
품절


 

 

 

 

<인요>



작가의 말 中


조선왕조실록엔 왕에 관한 이야기만 있을까?

점잖고, 격식에 찬 이야기로 가득 차 있을까?

조금의 망설임 없이 말하고 싶다.

조선왕조실록은 인류역사상 최고의 리얼리티라고...

조선을 굉장히 폐쇄적인 시대라고 폄하해 왔던 나의 단단한 편견은

여자가 되고 싶어 했던 한 남자(인요)에 대한

매우 사실적 묘사를 확인하는 순간 심한 부끄러움을 타게 되었다.



한줄평:

"조선왕조실록에는 딱딱하고 재미없는 역사이야기만 있다"

라는 말에 편견을 깨주는 독특하고 개방적인 인요에 대한 이야기.



인요란 떳떳한 도리에 벗어난 요사스럽고 괴상한 짓을 하는 사람을 이르는 말로 여자가 남자로 변복하고 남자가 여자로 행세하는 따위를 이른다. 그리고 이러한 인요에 대한 내용이 실린 조선왕조실록을 바탕으로 저자만의 독특한 상상력이 더해진 <인요>는 딱딱하고 지루하게만 느껴졌던 조선왕조실록의 신비롭고 기묘한 이야기를 다룬 소설로 인류역사상 최고의 단일왕조 역사서이자 조선시대 최고의 역사서인 조선왕조실록을 토대로 폐쇄적이고 격식적인 나라라고만 생각했던 조선을 '인요'라는 단어를 통해 편견을 깨주는 독특하고 기묘한 이야기이다. 이 책은 제목에서도 알다싶이 '인요'에 대한 이야기가 절반 이상을 차지하며 그 밖에 조선왕조실록에 실린 사료를 바탕으로 저자의 상상력이 가미된 기묘한 이야기들이 실려있다.


 

역사를 좋아하고 역사에 관한 내용이면 무조건 읽어보는 나로서는 사실 조선왕조실록 속에 담긴 다채롭고 신비로운 이야기가 많다는 걸 이미 알고 있었다. 보통 조선왕조실록하면 왕에 대한 업적이 줄줄이 나열되어있는 시시하고 지루한 일명 '왕에 대한 자랑집'이라고 생각하는 분들이 많을 것 같은데 사실 조선왕조실록들 속 신비롭고 기묘한 이야기들도 많다. 그래서 사료들을 읽으면서 이에 대한 이야기들도 많이 각색되어졌으면 좋겠다라고 생각했기에 <인요>라는 소설을 알게 되었을 때 정말 기대가 되었다. <인요>는 일단 조선왕조실록의 사료를 바탕으로 '인요'라는 독특한 인물과 상황을 토대로 트랜스젠더라는 독특한 설정이 읽기 전부터 기대가 되었다. 조선시대랑 인요라 언뜻 들었을 때 안 어울리는 조합이지만 이 책에서는 인요와 트랜스젠더를 합쳐 부담스럽지않으면서 절묘하게 잘 어울렸던 것 같다. 다만 이 책을 읽는 내내 문체들이나 언어선택이 조금은 잘 안 어울렸던 것 같고 인터넷소설 같은 느낌이 들어서 아쉬웠다. 그렇지만 나름대로 무거운 조선시대 배경이 가볍고 코믹적으로 느껴져서 무겁지 않아서 라이트노벨처럼 느껴졌다.



그리고 2부와 3부는 조선왕조실록에 실린 기록들과 조선왕조실록 내의 기록들을 바탕으로 단편소설들을 엮어서 전개된다. 그 중 2부 기묘집에서는 '미지와의 조우'라는 소설과 3부 야사록에서는 '살인귀'에 대한 내용이 인상적이었는데 특히 '살인귀'에 대한 내용은 악명 높았던 선조의 아들 순화군 이보의 이야기로 이 이야기는 내가 즐겨보는 역사각색프로그램에서도 다룬 내용이라 더욱 더 관심있게 읽었는데 워낙 조선왕조실록에도 순화군의 이야기가 많이 다뤄지는터라 다른 소설보다 저자의 고증력이 돋보였다. 야사록에 대해서 많은 자료조사를 통해 단편소설을 썼는지 읽는 내내 다른 소설보다 어색함이 별로 느껴지지않았다. 그리고 순화군 이보를 너무 사실적이게 그려내어 더 실감나게 소설을 읽을 수 있었던 것 같다. 이 책을 읽으면서 평소 조선왕조실록들을 보면서 흥미롭게 생각했던 내용들을 주로 다루어 정말 읽는 내내 즐거웠다. 그리고 물괴나, 해우등 몇몇은 이미 영화와 소설등에서 많이 다룬 내용이 있었지만 영화에서와는 또 다른 내용을 보여주어 새롭고 매 소설마다 조선왕조실록에 대한 사료를 함께 실어 소설과 사료를 비교해가며 읽는 재미도 있었다. 이 책을 읽으면서 특히 2부와 3부가 다양한 흥미로운 사료들에 대한 소설을 한꺼번에 볼 수 있어서 개인적으로 장편보다는 단편이 더 재미있었다. 하지만 '인요'와 트랜스젠더를 엮어 판타지 사극 소설을 탄생시킨 것은 이 책을 읽는 가장 큰 매력이 아닐까 생각된다. 이 책을 평소 역사소설을 좋아하고 특히 정사보다는 야사에 대해 더 관심이 많다면 추천하고 싶다. 이 책을 통해 조선왕조실록이 주는 기존의 편견에서 벗어나 역사를 즐기고 역사를 통해 재생산을 하는 재미를 느껴보길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