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우리가 살아 있는 모든 순간
톰 말름퀴스트 지음, 김승욱 옮김 / 다산책방 / 2018년 12월
평점 :
<우리가 살아 있는 모든 순간>
우리는 얼마나 우리의 소중한 사람들을 마음껏 사랑할 수 있다는 것에 대해 안일하게 생각하고 있는가를 반성하게 하는 <우리가 살아 있는 모든 순간>은 백혈병으로 죽어가는 아내와 갓 태어난 아이를 마주한 한 아빠와 그 가족의 이야기이다. 이 책을 읽는 내내 터져나오는 슬픔에 온 몸이 던져진 느낌이었다. 이 책은 과거와 현재가 왔다갔다하며 죽어가는 아내와 갓 태어난 아이 그리고 남겨진 이들의 이야기가 독자들에게 사랑하는 사람을 생각나게 만든다.
이 책의 저자는 톰 말름 퀴스트로 스웨덴의 시인이자 전직 아이스하키 선수, 대중음악가라는 독특한 이력과 함께 결혼식을 앞두고 아내 카린을 급성 백혈병으로 잃고 현재 딸 리비아를 홀로 키우고 있는 싱글맘이다. <우리가 살아 있는 모든 순간>은 그의 생에서 가장 아름답지만 아팠던 순간들을 기록한 그의 첫 소설이며 실제 있었던 일을 바탕으로 책이 구성되었기 때문에 사실적이고 세밀한 묘사와 감정을 통제하기 힘들었을텐데도 격한 슬픔의 감정이 절제된 문체는 정말 이 책의 슬픔에 대해 묵직한 울림을 준다.
사랑하는 이와의 행복한 미래를 꿈꿨던 톰이 점점 그의 아내가 임신한지 8개월 반 만에 고열과 호흡곤란으로 병원에 실려가고 '급성 백혈병'이라는 병에 사랑하는 사람을 잃어가며 자신의 사랑하는 아이를 지켜야하는 중압감은 평범한 남편이자 아빠가 되고 싶었던 그에게 너무나도 큰 아픔이고 슬픔이다. 나는 이 책을 읽으면서 슬픔이 내내 흘러나와 울컥한 순간이 많았다. 이 책은 특히 저자의 실제 이야기를 바탕으로 하고 있어서 그런지 더 현실감이 들고 몰입되었다. 사랑하는 사람을 잃어가는 슬픔이 더이상 소설 속의 이야기가 아닌 내 이웃의 내 주변의 이야기처럼 느껴졌다.
이 책을 읽고 나니 내 옆에 내 주변의 소중한 사람들에게 연락을 하고 싶어졌다. 이 책은 감정과 예술이 능숙하게 조화를 이루는 소설로 지극히 절제하려고 하는 감정표현들은 오히려 더 슬픔을 느끼게 만들고 사랑스런 아이 리비아를 더 사랑하게 만들고 행복한 나날만을 만나도록 응원하고 싶었다. 그리고 슬픔의 슬픔을 현실적으로 받아들일 수 밖에 만드는 톰의 섬세한 묘사와 절제된 감정표현들은 소중한 사람과의 소중한 시간들을 현재를 사랑하고 온전히 집중하며 살고 싶다는 마음을 갖게 만들었다. 이 책을 읽고 난 뒤 소중한 사람들에게 안부를 다정하게 전해보았는데 소중한 사람들과의 현재 시간을 아끼며 살아가야한다는 것을 깨닫을 수 있었다. 이 책을 소중한 사람들과 함께 읽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