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름다움이란 무엇인가
주광첸 지음, 이화진 옮김 / 쌤앤파커스 / 2018년 11월
평점 :
절판


 

 

:
아름다움이란 무엇인가
 



아름다움이란 무엇일까? 우리는 무엇을 보고 아름답다고 하는 것일까? 종종 미추를 따질 때 그 시대의 시대상을 반영한다고 한다. 그 예로 빌렌도르프의 비너스상을 이야기하는데 사실 미추의 구분은 정말 개인적 취향인 것 같다. 하지만 그래도 보편적인 아름다움은 있는 것 같다. 아름다움은 그것을 볼 수 있는 '눈'을 가졌을 때만 볼 수 있다고 하는데 보편적인 아름다움 그 걸 볼 수 있는 시각을 갖고 싶어서 읽게 된 주광첸선생의 <아름다움이란 무엇인가>. 이 책을 통해 주광첸 선생을 알게되었는데 주광첸 선생은 현대 미학의 아버지라 불리는 저명한 미학자이자 존경받는 교육자이다. 동서양 미학의 융합을 지향하는 기이 있는 연구를 하였고 동양권에서는 물론 국제적인 명성을 갖고 있으며 '미학의 대가'로 불렸고 현대 미학의 발전에 지대한 공헌자이다. <아름다움이란 무엇인가>는 일본의 중국 침략이 본격적으로 이루어졌던 1932년, 중국 청년들을 위해 쓴 열다섯 통의 편지를 책으로 엮은 것이다.


주광첸 선생은 이 편지들을 쓴 목적을 세속적인 것을 피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하기 위해서라고 밝히며 당시 중국 상황을 벗어나 시 한수, 그림 한 폭, 또는 멋진 자연 경관을 접하여 세속에서 벗어난 기분과 느낌을 이 편지 속에서 전하고 싶었다. 이 책을 읽으면서 그리 길지 않은 한 편지 한 편지마다 선생의 마음이 느껴졌고 점점 책을 읽을 수록 아름다운 시, 그림, 경관을 접했을 때 내 나름대로 심미적 세계가 생기게 되는 것 같았다.


이 책은 총 15편의 편지가 모아져있는 책으로 노송을 보는 세가지 태도에서부터 삶을 즐길 줄 아는 사람의 인생은 어떤지까지 예술과 함께하는 삶에 대해 다룬다. 선생은 '진선미'라는 가치는 인간이 인위적으로 정한 것일 뿐 사물 본연의 특징이라고 할 수 없다고 밝히면서 인간의 관점이 배제된 사물은 그저 혼돈 속에서 모두가 동등한 가치를 지니는 존재이고 선악도, 진위도, 아름다움과 추악함도 아무런 의미를 갖지 않는다고 말한다. 하지만 인간은 '미'에 집착하며 인간의 본성의 매우 다양한 욕구 중에서 '미'는 숭고한 욕구에 속한다. 그 이유는 살아있는 무언가는 무언가를 하기위한 행위를 계속하며 '목적이 있는 행위'를 한다. 허나 인간의 '미'를 추구하는 행동은 이와 다르다. 인간의 심미적 행위는 '무소위이위' 즉 '목적이 없는 행위'이다. 그래서 '미'는 사물의 가장 가치 있는 일면을 부각시키면서 '심미적 경험'은 인생에서 가장 가치 있는 순간에 해당한다고 주광첸 선생은 말한다. 그 어떤 세상을 호령했던 누군가도 예술작품만큼 오래가지 않는다. 그래서 우리는 사상가와 예술가들이 세상에 던지는 것들을 소중히 여겨야한다.

 


아름다움을 느끼는 '미감'은 무엇일까? 그에 대해 주광첸 선생은 '미'는 즉 '아름다움'은 심미적 경험에서 생겨남을 이야기한다. 우리가 아름답다고 느끼는 이유는 예전 심미적 경험을 통해 도출된 것이며 우리는 '미감'을 예민하게 느끼기 위해 다양한 심미적 경험을 해야한다.

"미감은 이미지에서 비롯된 직감이고, 이러한 이미지는 독립적이며 현실적인 삶과는 거리를 두고 떨어져 있다. 심미적 경험 가운데 자신과 사물의 관계에 대해 알아보았고 자신의 감정과 사물의 형상이 서로 교감할 때 진정한 미의 이미지를 볼 수 있다는 것을 깨달았다." (p.90)



"즉 예술가의 창작 활동은 마음가는 대로 행하되, 도리에 어긋나지 않아야 되는 것이다."

마음이 가는 대로 하다 보면 종종 도리에 어긋나기 쉽고 도리에 어긋나지 않게 하려다 보면 마음먹은 대로 할 수가 없다. 예술가는 이러한 모순을 스스로 극복해야 한다.

예술가의 자세에 대해 이야기하는 이 문장은 어떠한 격식을 따르면서도 그 안에서 다른 이들과 다른 무언가를 창작하는 예술가들의 고통을 알 수 있었다.



"서두르지 말고 천천히 감상하라!"

인생의 예술화란 아름답고 풍요로운 삶을 추구하는 자세다. '흥미롭다'는 이 자체가 감상이다. 삶을 알고자 한다면 주변의 수많은 사물을 느끼고 감상하라. 감상은 목적이 없는 행위를 즐기는 것이기 때문이다. 감상을 할 때 사람은 신처럼 자유롭고 부유하다.

우리가 예술을 즐기는 태도가 너무 딱딱하고 격식을 따지지않았는지 반성하게 되는 문구이다. 그리고 무언가를 감상하고 그것에 대한 아름다움을 느끼기 위해서는 마음의 여유를 가져야 하고 특별한 목적이 없어도 초조해하거나 불안해하지않아도 된다는 걸 깨닫게 했다.
 

 



"예술은 정서의 표현이며 정서는 인생의 근간을 형성한다. 예술을 떼어내고 인생을 논할 수 없다. 인간의 삶 속에서 창조하고 감상하는 것 모두가 예술의 활동 영역이기 때문이다."

예술과 함께하는 삶은 무엇일까에 대해 생각해보게하는 문장이다. 인생과 예술의 관계에 대해 다시금 생각해보게했다. '미'를 떼어놓고 인간을 논할 수 없음을 깨닫게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