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영화기자의 글쓰기 수업 - <씨네21> 주성철 기자의 영화 글쓰기 특강
주성철 지음 / 메이트북스 / 2018년 12월
평점 :

<영화기자의 글쓰기 수업>
글쓰기의 다양한 종류가 있겠지만 주로 영화를 보고 쓰는 영화평론, 영화비평등을 보면 다른 글쓰기와는 또 다른 매력이 있는 것 같다. 글쓰기가 창작이긴하지만 좀 더 논리적인 창작의 느낌이 강한 글쓰기들은 약간의 법칙과 노하우들이 존재하는 것 같다. <씨네 21>을 써왔던 주성철 영화기자의 실전 노하우가 담긴 <영화기자의 글쓰기 수업>은 좋은 영화글을 쓰기 위해, 앞으로 영화기자를 꿈꾸는 이들에게 필요한 팁을 전하고 있다. 영화글을 좀 더 매력적으로 만드는 방법을 알려주는 이 책은 뜬구름 잡는 글쓰기 비법대신 좀 더 실용적이고 실전에서 바로 사용할 수 있는 글쓰기 방법을 전하고 있다. 특히 영화리뷰, 영화비평, 영화평, 영화글이라는 세부적관점에서 글을 좀 더 전문적으로 어떻게 써야할지 소개하는 책으로 '특정 매체의 게재를 목적으로 한 청탁 받아 쓰는 '광의의 모든 영화글'을 쓰는 노하우가 담긴 책이고 영화기자나 영화평론가를 위한 책이다.
이 책의 저자 주성철은 <씨네 21>의 편집장이자 이제는 없어진 영화월간지 <카노>에 들어가 영화기자 일을 시작해 현재 <씨네21>까지 그리고 오상진 아나운서와 함께 sk b tv 영화 프로그램 <백업무비>, jtbc 영화 프로그램인 <방구석 1열>에 출연하고 있다. 개인적으로 잘 챙겨보지는 못하지만 jtbc의 <방구석 1열>을 좋아하는데 사실 이름만 듣고는 몰랐는데 프로그램을 보니 누군지 알았다. 그때도 굉장히 영화에 대해 조리있게 말씀하셔서 영화관련일을 하고 계시구나하고 생각했는데 영화기자셨다니 그 사실을 알게되니 기대하면서 책을 읽게되었다.
이 책이 특별하게 비법을 알려주는 건 아니지만 영화평론가, 영화비평가들에게는 굉장히 도움이 되고 중요한 팁들을 소개한다는걸 알 수 있었다. 이 책은 <영화기자의 글쓰기 수업> 저자 주성철의 심층 인터뷰로 시작하며 총 4개의 파트로 구성되어있다. 파트1는 '들어가는 느낌', '영화기자란 무엇인가'에 대해 소개하면서 영화기자는 무엇을 쓰고 한국 영화잡지의 역사는 무엇이고 한국영화에 대한 단상이라는 글을 소개하면서 저자가 써왔던 글을 소개한다. 이 책은 매 파트 마지막에 저자가 쓴 글을 소개하는데 총 4편, '한국영화에 대한 단상', '인물들의 추억', '사건들의 기록', '미투와 페미니즘'에 대한 글이 소개된다. 파트2는 글을 쓰기 전에 챙겨야할 것들에 대한 내용으로 개인적으로 모든 것에 의문을 품고 전체 크레딧을 확인하는 것과 모방하는 것이 처음 영화글을 쓰는데 중요하지 않을까 생각된다. 약간은 뻔한 말일 수 있지만 글을 쓰기 전에 충분히 준비해야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파트3는 글을 쓸 때 어떻게 써야할지 정말 솔직하게 답한다. 예를들어, '내가 감독이다', '빨리써라', '아는 척하라'등과 같이 소제목이 구성되어있는데 정말 실질적인 말이 아닐까 생각된다. 그리고 보통 첫 문장을 쓸 때가 제일 어렵게 느껴지는데 저자는 '대사', '장면', '인물', '사건'으로 첫 문장을 시작하라고 조언한다. 그리고 이왕이면 대사나 장면으로 시작하는 것이 좋다. 또한 첫 문장과 마지막 문장을 함께 써놓고 시작하라고 조언한다. 저자에 말에 따르면 "첫 번째 문장에 대한 답이 마지막 문장이고, 첫 번째 문장의 외침에 대한 메아리가 바로 마지막 문장이다."라고 한다. 그렇기 때문에 마지막 문장을 먼저 대충 정해두면 가다가 길을 잃더라도 글의 맥락과 목적지를 잊어버리지 않을 수 있다. 파트4는 인터뷰의 기술에 대한 이야기로 인터뷰이의 이야기를 그대로 받아들이면 안되고 저자의 영화'기자'라는 직업적 색이 가장 많이 들어나는 파트이기도 하다. 인터뷰이가 하는 이야기는 사소한 기억이나 정보, 사실관계는 틀리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진짜 인터뷰는 인터뷰가 끝나는 바로 그 순간 시작됨을 알아야한다.
개인적으로 글쓰기는 관심있는 분야라서 읽게되었는데 사실 영화글에 대한 열망은 없어서 가볍게 읽었다. 이 책 중간중간 들어간 영화컷들은 책을 읽으면서 재미있었고 잠시 쉬어가면서 영화에 대해 생각할 수 있었다. 그동안 '글쓰기'를 주제로 한 글들은 많았지만 영화 글쓰기라는 비평적 글쓰기에 대한 책은 접하기 힘들었다. 이 책은 '광의의 창작'보다는 비평적인 글, 즉 논리적이고 영화라는 한 분야에 대해 집중적으로 이야기하면서 이와 관련된 글을 쓰는 저자의 다년간의 노하우들을 소개한다. 영화비평, 영화평론에 관심있는 독자들이라면 이에 대한 '전문적'인 글쓰기에 대한 조언을 받을 수 있기에 이와관련된 내용에 관심이 있으신 분들이나 이와 관련된 직업을 꿈꾸고 있는 분들께 추천하고 싶은 책이었다. 이 책을 통해 영화를 기어이 말과 글로 풀어낸다는 게 무엇인지, 영화기자라는 조금은 특별한 세계에 대한 궁금증을 해소할 수 있는 기회가 되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