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도 아직 나를 모른다 - 뇌과학과 임상심리학이 부서진 마음에게 전하는 말
허지원 지음 / 홍익 / 2018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
나도 아직 나를 모른다


우리는 우리 자신을 얼마만큼 잘 알고 있을까? 각자의 사정과 상황이 있어서 자신의 마음에 대한 여유를 찾지 못한채 막연하고 불안하게 살아가고 있지 않을까? 얼마전 우울할 땐 뇌과학이라는 책을 읽으면서 우울이라는 감정이 뇌의 어느 부분과 연관되어 있는지를 읽어보면서 감정적으로만 생각했던 '우울'을 좀 더 객관적으로 바라볼 수 있었는데 <나도 아직 나를 모른다>도 뇌과학과 임상심리학을 같이 다루며 낮은 자존감, 완벽주의, 죄책감, 우울감등이 왜 발현되는지등을 설명하면서 스스로의 자기통제력을 상실한채 우울감과 불안감에 빠지고 때때로 분노하게 되는지에 대해 이야기한다. <우울할 땐 뇌과학>과 다른 점이 있다면 뇌과학보다는 임상심리학에 포커스를 맞춰 내용이 주로 진행된다는 점이다. 이 책은 흔히 이야기하는 자존감에 대한 편견을 다루면서 높은 자존감을 가지면 항상 행복하며 우울감따위는 없을 것이라는 선입견으로 인해 자기기만에 빠지게 되는 상황들을 보여준다. 그동안 많은 심리치유에 관한 책들 중에 자존감에 대해 이야기하는 책들이 많았지만 이 책은 자존감도 내현적 자존감과 외현적 자존감으로 나눠설명하기 때문에 좀 더 구체적으로 자존감과 감정의 상관관계를 명확하게 알 수 있어 그간 막연하게 자존감을 높여야하는데 강조했던 책들과 달리 좀 더 구체적이고 체계적으로 설명해주었다. 또한 각각의 해당 연구사례들을 통해 세분화하여 설명한 내용들을 보충설명하여 현재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었고 이전까지는 자존감이 어딘가 잘못되어 있다고 느꼈을 때, 단순히 자존감의 높낮이만을 파악하여 문제를 해결하려고 했다면 이제는 외견과 내면을 모두 파악하여 외견상 높은 자존감을 갖고 있는 것처럼 보여도 사실은 내면의 자존감은 만성적으로 취약해져 불안정해진 상태일수도 있기때문에 자존감의 높낮이만으로 모든 문제를 바라보지는 말아야함을 깨달았다. 이 책은 또한 하나의 주제에 관한 뇌과학자의 시각과 임상심리학자의 시각이 번갈아가며 전개되기때문에 뇌과학적인 측면에서도 자아와 감정, 자존감등에 대해 알 수 있었고 임상심리적인 측면에서도 이에 대해 알 수 있어 균형을 이루어 두가지 측면의 시각을 통해 주제들을 알 수 있어서 좋았다. 뇌과학적인 측면에서는 좀 더 이론적으로 볼 수 있었다면 임상심리학적 측면에서는 좀 더 실질적이고 현실적인 문제들과 충분히 접할 수 있는 구체적인 상황등을 통해 알 수 있어 균형을 이루어 두가지 측면의 시각 통해 바라본 해당 주제의 접근에 대해 알 수 있어 흥미로웠다. 또한 맨 처음에는 각 장에 주제와 밀접하게 연관되는 해당 상담사례들을 배치하여 공감하며 읽을 수 있어 해당 주제에 대해 집중할 수 있고 현실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도록 도와주었다. 각 장의 마지막에는 '오늘의 숙제'라는 칸을 따로 마련해 저자가 독자들에게 던지는 질문또는 각 장에서 가장 기억해야할 부분들에 대해 친절하고 구체적인 해결방안들을 제시하여 이 책을 좀 더 실용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이 책은 총 5부로 구성되어있는데 1부는 낮은 자존감과 자존감을 세부적으로 나눠 외현적 자존감과 내현적 자존감에 대해, 2부는 자존감과 자신감, 애정결핍과 의존성에 대해 3부는 불안과 완벽주의, 억울감과 외부귀인에 대해,  4부는 날선방어와 우울감과 삶의 의미에 대해, 5부는 실패에 우아하게 대응하며 나를 좀 더 알아가며 소중하게 대할 것을 조언하며 이 책을 마무리한다. 전체적으로 이 책은 한번쯤 낮은 자존감과 완벽주의, 죄책감, 의존성, 우울감에 대해 고민이 있었던 독자라면 고민했던 부분에 대한 명확한 해답까지는 아니더라도 나 자신이 어떻게 그 문제들을 바라보고 있었는지 생각하며 파악할 수 있는 책이었다. 때론 냉정하고 객관적으로 나 자신을 들여다보라고 조언하지만 적절하게 나 자신을 소중히하며 격려해야한다는 점도 담겨있었다. 이 책을 읽으면서 오늘의 숙제라는 부분이 가장 기억에 남았는데 이 부분이 나의 생각을 정리하기에 좋았고 책을 읽다가 놓쳤던 부분도 다시금 생각해볼 수 있도록 도와주어서 좋았다. 이 책을 통해 나조차 알지 못했던 나를 이해할 수 있었고 그동안 많은 부분에서 많은 고민과 불안이 있었던 문제들에 대해 뇌과학과 임상심리학 두 가지 관점에 대한 시각을 가질 수 있었기에 이 책을 통해 그동안 막연하게 자존감이 낮아 고민하고 있거나 막연한 위로를 전하는 에세이나 심리치유서에 지친 분들께 추천하고 싶다. 우울, 낮은 자존감, 불안, 애정결핍, 의존감, 분노, 죄책감등 부정적인 감정들때문에 힘들어하시는 분들께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