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류학자라고 새를 다 좋아하는 건 아닙니다만
가와카미 가즈토 지음, 김해용 옮김 / 박하 / 2018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조류학자라고 새를 다 좋아하는 건 아닙니다만>

 

 

 

인류 문화에 영향을 주고 늘 동경의 대상이 되어온 것이 조류이다. 일본에는 화조도라고 불리는 자연을 대상으로 한 회화가 옛날부터 많았다. ...... 포유류나 곤충도 화조도의 모티프가 된다.


우리는 인류 공통의 재산인 생물의 다양성을 확보하고, 그것이 가져온 혜택을 미래에도 향유할 수 있도록 다음 세대에게 물려줄 책무를 갖는다.  -생물다양성기본법 中-

 

 

아마도 평범한 사람들 중에 제대로 조류학자로서의 삶이 어떤지 아는 사람은 거의 없을 것 같다. 그 이유는 보통 조류학자를 주변에 많이 찾아볼 수 없기때문일 것 같은데 조류학자라는 직업을 꿈꾸는 이들도 별로 없을 뿐더러 조류학자가 되고 싶은 이들을 위한 조류학과도 전국에서 찾아보기 힘들다. 평소 동물농장 프로그램을 자주 보는데 조류에 대한 이야기가 나올 때 등장하는 조류학자분은 매번 같았다. 이렇게 희소한 조류학자들의 삶은 어떻게 살아가고 어떤 조류들을 연구해왔는지 궁금해질때가 종종 있었다. <조류학자라고 새를 다 좋아하는 건 아닙니다만>에서는 평소 일반인들이 궁금해했던 조류학자로서의 삶은 어떤 것인지 다양한 사례들을 통해 보여주었다.


이 책은 조류학계의 빌 브라이슨이라고 불리는 일본 가와카미 가즈모의 책으로 그의 전작 <조류학자, 무모하게도 공룡을 이야기하다>보다 더 업그레이드 되어 더 재미있어졌다. 그동안 조류학자의 삶을 이토록 진실하고 솔직하게 심지어 쓸데없는 이야기까지 모두 담은 이 책은 미지의 영역?이었던 조류학자로서의 삶을 생생하게 보여준 책이라고 생각했다. 24종의 새를 주제로 각각의 에피소드를 전개하고 있는데 새에 대한 지식뿐만아니라 해당 새를 보기위해 찾아가는 여정들을 담아 해당 조류가 멸종되지않도록 기울이는 노력들, 그리고 재미없는 지루한 일상들과 에피소드들까지도 다 담겨있었다. 그리고 일본인 조류학자가 쓴 책이라 일본의 새들과 그 새와 관련된 역사들도 함께 다루고 있어서 다양한 배경지식들도 배울 수 있어서 좋았다.


이 책의 추천사에 "쓸데없이 재미있다"라고 쓴 추천사가 있는데 이 책을 읽고나니 그 말이 너무 공감되었다. 약간 알고있으면 쓸데없지만 재미있어서 한 숨에 읽게 된 책이었다. 조류학자에 대해 특별히 관심이 없으셔도 이 책을 읽고나면 왠지 새에 대해 조류학자에 대해 더 관심이 생길 것 같다. 이 책을 읽고 나니 많은 조류들이 멸종의 위협을 받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되어서 이 책을 읽고 많은 이들이 좀 더 조류들의 삶에 관심을 갖게 되기를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