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논어 (무삭제 완역본) ㅣ 현대지성 클래식 23
공자 지음, 소준섭 옮김 / 현대지성 / 2018년 10월
평점 :

: 논어
대표젹인 동양철학 중 유학에서 『논어』는 유학의 사상의 체계의 기본을 만들었다. 윤리나 철학사상들을 좋아해서 관련 책들을 읽는 건 좋아하지만 '논어'를 제대로 처음부터 끝까지 읽어보는 건 처음이다. 고전을 읽을때 가장 중요한건 역자의 정확한 변역과 역자가 번역책에 대한 전문성을 갖추고 있느냐를 중요하게 생각하는데 '논어'를 번역한 소준섭 역자는 중국어과를 전공했고 다수의 한, 중 매체에 폭 넓으면서도 깊이 있는 글을 기고했기때문에 자연스럽게 번역되었을 것 같아 기대되었다.
이 책의 구성은 학이부터 요왈까지 20편으로 구성되었으며 마지막에 '논어'의 해제와 공자 연보를 함께 실었다. 먼저 이 책의 텍스트의 크기나 여백들이 마음에 들었는데 맨처음 중국어 원문을 실고 다음으로 중국어를 그대로 번역한 내용을 실었고 마지막으로 내용에 대한 풀이을 실었다. 어떤 것을 주의깊게 봐야하고 어떻게 해석해야 더 좋은 해석이 될지에 대해 설명했고 그 문장을 해석하는데 필요한 배경 지식도 함께 실었다.

그리고 중간중간 공자의 모습이나 공자의 제자들의 모습이 담긴 그림들도 실어놓았고 주석또한 깔끔하고 보기쉽게 달아놓았다.
이 책을 읽으면서 공자의 예치와 덕치가 무엇인지 군주와 신하 백성이 가져야할 태도는 무엇인지 그리고 살아가는데 있어서 학습이나 관계에 있어서 어떻게 행동해야하는지등을 배울 수 있었다. 특히 공자의 말을 중심으로 공자와 그의 제자들의 대화를 중심으로 논어가 구성되었기때문에 원문 그대로의 대화체로 해석되어 확실히 이해가 쉬웠고 해설에는 유교를 공부했던 선인들이 구절을 어떻게 바라보았는지도 해설에 실려있어서 다른 유학자가 해석한 내용 무엇인지도 할 수 있어서 좋았다.

고전이 소중한 까닭은 그것이 인간의 본질에 대하여 가장 적확하고 체계적이고 분석하였기때문이다. 현재의 사상들은 고전으로부터 흘러온 내용이고 가장 이러한 사상들이 이루어진 고전을 반드시 읽어야한다고 생각한다. 김영하 작가는 "정말 새로운 것을 얻으려면 현재 가까운 곳에서 찾지말고 고전에서 찾아야한다"고 말했다. 이처럼 고전이 주는 가치를 느낄 수 있는 공자의 '논어'를 읽으면서 400페이지 정도의 분량이었지만 읽는 내내 깔끔한 편집과 큰 폰트로 읽기도 편하고 여백도 많아서 추가하거나 기억해야할 문구를 표시하는데 활용할 수 있었다. 논어가 주는 가치들을 충분히 느낄 수 있었던 것 책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