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인생 우화
류시화 지음, 블라디미르 루바로프 그림 / 연금술사 / 2018년 7월
평점 :

: 인생 우화 < 폴란드의 작은 마을 '헤움'을 배경으로 전해 내려오는 이이기>
모든 인간은 우화적 세계 속에 태어나며, 따라서 우화적 세계 속에서 사유한다. 그런 만큼 어떤 시대를 지배하는 우화 구조를 이해하면 그 시대 사람들의 사고 방식을 이해할 수 있다. -라 퐁텐
'헤움'을 배경으로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들을 모아 하나의 책으로 엮었다. 폴란드의 작음 마을 '헤움'은 실재로 존재하는 마을은 아니지만 그곳에서 전해주는 우화들은 웃음과 함께 깨달음을 전해준다. 우화는 두 천사에게서 시작된다. 어느날 신이 지혜로운 자들은 적어지고 어리석은 자들이 늘어나는 것에 걱정이되어 한 천사에게는 지혜로운 영혼들을 모두 모아서 마을에 골고루 떨어뜨리라고 말하고 또 한 천사에게는 어리석은 영혼들을 모두 모아서 자루에 담아오라고 명령했다. 하지만 어리석은 영혼들이 가져오던 천사의 자루가 찢어지면서 한 마을에 어리석은 영혼들이 떨어졌다. 그리고 그들의 마을이 '헤움'이다.
천사들의 실수로 세상의 모든 바보들이 모여 살게 되고 그들은 자신들이 세상에서 가장 지혜로운 사람들의 마을, 현자들의 마을이라고 생각하며 사는 '헤움'. 인생의 문제에 타협하며 자신의 어리석음을 지혜라고 믿는 '헤움'의 사람들의 이야기를 읽다보면 어리석다 비웃을지도 모르겠지만 왠지 모르게 보편적 사람들의 이야기가 아닐까하는 생각이 든다. 그리고 어리석다 비웃던 이야기에서 깨달음을 얻게 된다. 이 책은 이전의 우화집보다 훨씬 더 신선하고 기발한 이야기가 아닐까하고 생각했다. 상상력있는 기발한 이야기들은 이 책을 읽는 내내 웃음과 감탄을 하게된다. '헤움'사람들의 순수하고 멍청함에 반하고 논리적인 비논리속에 살아가는 우리들의 삶을 풍자하기도 한다. 멍청하다고 비웃음이 나오는 이야기들은 깨달음을 준다.
'제발 내가 나라는 증거를 말해 주세요'는 옷을 벗는 순간 내가 누구인지, 모르게 되면 어떡하지하고 걱정하는 주인공이 자신의 손목에 빨간 끈을 묶어서 자신이 자신임을 증명할 수 있다는 이야기는 어처구니없으면서도 너무 귀여웠다. 자신이 누군지 모르게 된다는 생각자체에 웃음이 났다. 그리고 다른 사람의 손목에 빨간 끈이 묶여져있는 걸 보고는 자신이라고 생각하는 모습은 어이없으면서도 내가 나일 수 밖에 없지 않나하는 기존 생각에 질문을 하게했다. '대신 걱정해 주는 사람'은 나 대신 누군가 내 걱정을 해주면 나는 걱정없이 살 수 있지 않을까하는 생각에서 모두의 걱정을 대신해주는 사람을 정해 그 사람이 나 대신 걱정해줄때마다 댓가를 지급한다는 이야기이다. 도대체 나 대신 다른 사람이 걱정해준다라는 이야기가 어이없었지만 걱정이라는 것을 돈으로 사고 팔 수 있다는 생각이 기발했다. 그리고 걱정을 하지 않으려면 결국 돈을 지불해야하는 걸까, 그러면 걱정은 결국하게 되지않을까하는 생각이들었다.'단추 한개'는 가난하지만 행복한 가족이 닭을 팔아서 받은 동전1개를 가지고 단추를 사러 갔다가 자신이 불행하다는 것을 알게되고 자신을 불행하다는 것을 알게 만든 고급단추를 버리고 다시 행복을 찾았다는 이야기도 하나라도 더 많은 것을 가져야겠다는 현실에서 그러한 생각을 버리면 행복해질 수 있다는 이야기는 깨달음을 주었다. 우리는 행복해지는 방법을 알지만 자신이 가지고 있는 것을 놓지못해서 행복해질 수 없는게 아닌가하고 생각했다. 이 이외에도 자기 집으로 여행을 떠난 남자,하늘에서 내리는 나무, 정의를 구합니다등 기발하고 기존의 생각들을 뒤집어 생각하는 이야기들이 재미와 동시에 교훈을 준다.
이전까지 우화집은 단지 재미를 주기위한 책이라고만 생각했는데, 그 이면에 담긴 지혜주는 책이라는 것을 알게됬다. 가장 어리석다고 생각하지만 그 속에 담긴 지혜야말로 순수한 깨달음을 주는 이야기인것 같다. 이 책을 읽는 동안 45편만 있다는 것이 아쉬웠다. 한번 이 책을 읽게되면 분명 이 책을 사랑하고 '헤움'사람들을 좋아하게될 것이다. 우리가 인생에서 배워야할 것들이 '인생 우화'에 담겨져있다고 생각하기에 이 책을 추천하고 싶다. 은유적이고 감각적인 표현들이 이야기들을 더 읽고 싶게하는 중독성있는 인생의 지혜를 배울 수 있는 책이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