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여성은 어떻게 살아남을까
우에노 지즈코 지음, 박미옥 옮김 / 챕터하우스 / 2018년 7월
평점 :

: 여성은 어떻게 살아남을까
여성들의 삶이 어떠했을지. 신자유주의가 일어나면서 여성들의 삶은 어떻게 변했는지.
여성들의 삶을 재조명한다.
유교윤리관아래 오랜시간동안 통치를 하고 통치를 받았던 우리의 민족은 효와 예를 중시하는 유교 윤리관에 맞추어 남성들의 인권보다 여성들의 인권이 현저하게 무시당해왔다. 그리고 아직도 우리의 인식 속에는 이러한 잔재들이 남아있으며 어르신분들께는 옛말에 "암탉이 울면 집안이 망한다"라는 말에서 알 수 있듯이 여성들의 인권은 냉대 속에서 무시당했다. 저자 우에노 지즈코는 [여성 혐오를 혐오한다]라는 책의 저자이며 여성들의 인권문제에 노력해온 페미니스트이자 사회학자로 사회학과 여성 연구에 있어 일본 최고의 지성으로 유명하다. 저자가 이 책에서 다룬 시대는 균등법이 만들어지고 나서 지금까지 대략 30년이다. 이 기간은 신자유주의 개혁이 추진된 30년과 겹친다. 그중에서 여성에게 가장 심각한 문제라고 생각한 고용과 노동을 중심으로 이야기했다. 그 이유는 직장이 없다는 것은 곧 생(生)의 유지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먹고 살게 해줄 만한 남자들의 수가 급격히 줄었다. 여성들이 그들의 일자리를 빼앗았기 때문이 아니라 신자유주의 때문이다.
저자는 이러한 사실들을 이야기하면서 신자유주의가 여성들의 삶에 끼친 영향들을 살펴보고 여성혐오가 증가하는 원인이 무엇인지 여성들은 앞으로 어떻게 살아남아야할지에 대해 다룬다. 요즘 사회적 이슈중에 하나가 미투운동이며 페미니즘운동이기때문에 도대체 페미니즘은 무엇이고 페미니즘을 주장해야하는 이유가 무엇인지 궁금해졌기에 이 책을 읽게 되었다. 비록 이 책의 저자가 일본인이기때문에 한국의 여성인권운동의 역사라든지 여성인권이 어떻게 변화해왔는지에 대한 설명은 없지만 기본적으로 통하는 신자유주의 등이 여성들에게 미치고 고학력 여성들이 많아지고 여성의 사회 진출이 많아지면서 여성이 일과 가정을 동시에 책임져야하는 상황이 발생했다는 배경은 비슷하기때문에 여성들의 삶이 어떠했는지 알아보고 신자유주의가 끼친영향과 그에따라 여성혐오를 부추기게하는 것들은 무엇인지등을 이해하기에는 무리가 없었다.
신자유주의로 인해 여성의 사회참여도가 높아지는데 그에 따른 책임을 여성에게만 지게하는 것이 여성들이 그들의 인권에 목소리를 높이는 이유라는 생각이들었다. 또한 자신의 권리를 지키기위한 여성운동을 지지하지않고 여성혐오를 부추기는 것은 무엇인지에 대해서도 살펴볼 수 있었는데, 이를 좀 더 알게 되어서 좋았다. 신자유주의가 여성들의 인권 신장하기위한 배경이 되었지만 또한 신자유주의 덫에 빠지게 했기 때문에 여성운동을 주장하게 되었다는 것도 새삼 인지하게 되었다. 그리고 그런 환경 속에서 우리가 어떤 방향으로 나아가야할지에 대해서도 알 수 있었다. 여성인권문제를 좀더 체계적이고 타당성있는 내용들로 살펴볼 수 있었다. 여성들의 삶을 좀 더 객관적으로 바라볼 수 있게 해준 책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