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석류나무에 앵두가 열리듯
리얼 지음, 김순진 옮김 / 자음과모음 / 2018년 7월
평점 :

: 석류나무에 앵두가 열리듯
중국의 농촌 현실을 잘 표현한 작품.
농촌의 작은 마을을 둘러싸고 펼쳐지는 은밀한 권력다툼.
전통과 현대의 경계에 선 오늘날 중국의 현실을 마주하다.
맨 처음 이 책을 접했을때는 독일의 메르켈총리가 중국 원자바오 총리에게 선물했다는 책이라서 관심이 생겼다
그리고 그 다음에는 도대체 무슨 내용의 책이길래?라는 궁금증도 생겼다.
중국사로 학교에서 배운게 다였던 나에게 , 중국의 현실과 직접적이며 사실적인 소설은 관심사였다.
그래서 이 책이 루쉰의 <외침>과 비견되는 사실주의적 작품세계라는 말을 듣고 너무 읽어보고 싶었다.
[석류나무에 앵두가 열리듯]은 중국의 농촌현실을 잘 반영한 작품으로 주인공 쿵판화는 관청마을의 마을위원회 주임으로 활동하고 있다.
쿵판화는 자신의 연임 가능성을 의심조차하지않았지만 선거 준비가 본격적으로 시작될 무렵, 마을에서 한 여자가 국가 정책에 반하는
계획 외 임신을 했다는 사실이 밝혀진다. 쿵판화는 선거에 이기기위해서 반드시 이 일을 잘 처리해야하는데,
어느 날 갑자기 여자가 실종되면서 쿵판화가 사라진 여자를 찾는다. 또한 진실도 수면 위로 떠오른다.
'석류나무에 앵두가 열리듯'이라는 제목을 들었을때부터 뭔가 아이러니같은 주제를 담고있나 생각하면서 글을 읽었다.
그런데 알고 보니 '석류나무에 앵두가 열리듯'이라는 말은 중국 속담으로 불가능한 일이 일어났다라는 뜻이였는데,
이 책을 읽다보면 왜 책 제목이 '석류나무에 앵두가 열리듯'인지 알 수 있을 것이다.
중국 시골 마을, 관청마을에서 마을위원회의 주임인 쿵판화는 데릴사위가 되어 관좡마을로 온 장뎬쥔을 남편으로 두고 있다.
쿵판화는 원래 촌지부서기의 지위에 있었는데, 마을의 어떤 사람이 집에서 노인이 죽자 화장을 하지 않고 몰래 매장한 사건때문에
촌지부서기 지위에서 해임당했다. 그리고 그 와중에 겨우 마을위원회 주임 자리만이 쿵판화에게 남았다.
하지만 이 주임자리도 산아제한정책이 실패로 돌아가게되면 더이상 안전하지 않다. 결국 쿵판화 대신 마을위원회 주임으로 멍샤오홍이 선출된다.
마을하나에 국가의 모습이 담겨져있는 소설 [석류나무에 앵두가 열리듯]은 중국의 현실을 누구보다 사실적으로 바라보았다.
작은 농촌마을이지만 거대 중국의 자화상처럼 닮아있으며, 중국의 산아제한정책의 문제점을 보여주기도하면서
한편으로는 은밀한 권력다툼이 중국의 권력층을 빗대어 이야기하는 것 같았다.
등장인물의 은밀하고 의뭉스런 심리들은 그들만의 성향을 표현하는 것 같아서 생활상과 밀접하게 연결되어있는 내용들은
작은 시골마을을 표현했지만 중국이라는 나라를 담고있었다. 인간의 권력욕을 은밀하고도 적나라하게 보여주었으며
전통과 현대의 경계에 선 중국의 현 상황을 잘 반영해서 표현하고 있다. 이 책에서 나오는 액자에 쓰인 문구
"한 송이 꽃에 하나의 세계가 있다"라는 말이 정말 이 소설을 대변하는 문구가 아닌가 생각이 들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