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하얀 국화
매리 린 브락트 지음, 이다희 옮김 / 문학세계사 / 2018년 8월
평점 :
절판

: 하얀 국화
제주도 소녀해녀자매가 겪는 우리역사를 간직한 가슴아픈 이야기.
일본군 성노예와 제주 4.3사건이 그려진 어린 소녀 자매의 통절한 비극을 나타내는 소설.
절대 잊어서는 안되는 이야기.
한국계 미국인 여성작가가 쓴 가슴아픈 역사적 사실을 담고 있는 일본군 성노예와 제주4.3사건을 다루는 소설은 미국, 영국, 이탈리아, 프랑스, 스웨덴 등 세계 20여 개국에서 출판되어 화재가 된 [하얀국화]이다. 일본군 성노예사건을 담고있는 소설이라서 읽어보고 싶었는데, 처음 제목을 들었을때는 조금 불편하기도했다. 주로 여성들을 꽃으로 비유하는건 여성들을 미화하고 수동적이라는 것을 주로 표현할 때 꽃을 이용해서 여성을 부르는데, 이 책도 미화되서 소설이 전개되지 않을까하는 걱정도 조금있었다. 하지만 이 책의 제목을 [하얀국화]로 정한 건 고인을 추모할때 하얀국화가 쓰이는 것에서 착안해 '하얀국화' 제목으로 정했다고 한다. 그리고 한국계 미국인 여성작가라서 우리나라의 역사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지않을까하는 걱정도 있었지만, 역사적 이해와 소설로 이야기하는 가슴아픈 역사적 사건들이 읽는 내내 가슴조리고 울컥하게 만들었다.
[하얀국화]는 제주를 배경으로 시작해서 그곳에서 벌어졌던 가슴아픈 역사들을 이야기한다. 주인공은 제주도 해녀집안의 두 자매, 하나와 아미이다. 언니 하나는 일본군 모리모토에 의해 겨우16세에 성노예로 끌려가서 겪는 갖은 악행들이 처절해 중간에 책을 덮었던 적이 한두번이 아니었다. 책을 읽는 중간중간 울컥한 순간이 계속되어 끝까지 읽기가 힘들었다. 이 책은 1943년의 일본군 성노예로 끌려가면서 하나가 겪는 갖은 상처들과 2011년 하나의 동생인 아미가 자신의 언니를 추억하면서 수요집회에 나가며 상처남은 지난날의 언니를 추억하고 제주도 4.3사건으로 희생된 가족들을 회상하면서 이야기가 전개된다. 번갈아서 전개되는 내용들은 일본군 성노예로 강제로 끌려간 여성들의 고통을 더 가슴아프게 만들었다. 그리고 남겨진 이들의 그리움을 더 깊숙이 공감하게 만들었다. 그리고 평화롭게 살던 제주의 모습들이 전반부에 등장하면서 강제로 끌려가 성노예로 희생당했던 모습이 더 처절하게 통절함을 불러일으켰다. 하나와 아미는 바다를 사랑했고 자신이 해녀인것을 자랑스럽게 생각하며, 깊은 물에서 물질하며 생동감있고 아름다운 모습은 뒤에 그녀들에게 닥치게될 일들을 더 비극적으로 보여주게만든다.
하나가 동생 아미에 대해 회상하는 장면은 하나의 쓸쓸함을 더 깊게 만든다. "여름 산들바람에 얌전하게 떠다니는 새처럼 웃었지. 파도처럼 오르락내리락 하기도 하고 공중을 미끄러져 날아가면서 나무 끝을 건드리는 새처럼, 그렇게 웃었지...... 자유롭게"라고 말하는 하나의 모습은 씁쓸함과 안타까움을 자아낸다. 그리고 몽골에서 소련군 병사에게 끌려가서 당당하게 말하는 하나의 모습은 아름답기도했지만 그만큼 처절해서 울컥했다. " 난 해녀야. 우리 엄마가 그렇고 엄마의 엄마가 그랬고 내 동생이 그렇듯. 그리고 언젠가 내 동생의 딸들도 해녀가 될 거야. 난 언제나 바다의 여자였어. 너도, 그 어떤 남자도 나를 그보다 못한 존재로 만들 수 없어."라는 말이 가슴에 깊은 여운을 남겼고, 얼마전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기림의 날이 지정되면서 위안부로 피해를 입은 여성들을 잊지않고 기억해야겠다고 생각하게 되었는데, 이 책이 생각났다. 이 책을 읽고 가슴아픈 역사적 사실이지만 우리가 잊지말고 아직도 수요집회가 계속되고 있는데, 좀 더 이 문제에 관심을 갖고 함께해야겠다고 생각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