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여의자 (승자가 지워버린 이름)
의자왕. 그는 정말 실패하고 타락한 왕인가, 의자왕에 대한 또다른 역사를 보다.
백제 패망의 미스터리가 재해석과 상상력만이 아니라 엄정한 고증을 거쳐서 쓰여진 역사소설.
예전에 역사소설에 빠졌던 기억있는데 그때에는 의자왕에 대한 소설은 많이 못 읽어본것 같아 [부여의자]를 읽고 싶었다. 의자왕은 백제의 마지막왕으로 '삼천궁녀 의자왕'이라고 유명한데, 사실 이건 일제가 만들어낸 거짓말이다. 역사는 승자의 기록이기때문에 패자인 의자왕은 그동안 무능한 왕이라는 타이틀을 벗어나지못했다. 백제의 마지막 왕이기에 시호도 받지 못하고 당나라에서 비참한 최후를 맞이한 그의 진실은 무엇이었을지에 대한 호기심과 떨림이 이 책을 읽는 동안 계속되었다. [부여의자]는 김문주 역사소설로, 재해석과 상상력을 더하고 <삼국사기>, <일본서기>, <당서>등 엄정한 고증을 거친 소설로 실화와 허구가 어느경계에 있는지는 잘 모르겠지만, 실화를 바탕으로 승자들의 역사에 가려져있던 역사를 재구성한것은 사실이다. 그래서 이 책을 읽으면서 백제와 신라의 관계와 전투들 , 의자왕과 계백장군의 의리등이 어울려 역사드라마 한편을 보는 것 같았다. 솔직히 신라나 고구려에 대한 기록은 백제에 비해 많이 남아있고 백제 패망에 대한 사료들은 거의 다 승자를 중심으로 쓰여졌기때문에 객관성이 좀 떨어진다는 점에서 항상 좀 아쉬웠던 부분이 있었는데, 이번 소설은 작가의 상상력이 섞인 작품이지만, 백제에 대한 전투들이나 의자왕과 계백, 그리고 그들의 인품들을 짐작해볼 수 있어서 흥미로웠다. 원래 의자왕 초반때는 백제의 국력이 신라를 위협할 정도였는데, 당의 개입으로 인하여 급속하게 전세가 기울었고, 첩자들에 의해 내부적으로 문제가 생겨 결국엔 백제가 나당연합군에 패배하였다. 이 책에서의 다양한 사건들과 결국 마지막 의자왕이 당에 끌려가며 그의 최후까지 다루면서 그 사이에 잘 알지못했던 역사적 인물들의 관계들과 백성들을 사랑했던 의자왕의 모습이 놀랍기도하면서 흥미로웠다. 또한 역사적 사실과 작가의 상상력이 조화롭게 잘 어울렸다. 그리고 조금이나마 무능한 왕으로 기억되던 의자왕을 객관적으로 볼 수 있게 되었다. 의자왕의 마지막은 너무도 쓸쓸했지만 그의 의지만큼은 당나라 황제조차도 꺾을 수 없었던 모습을 보면서 역사에서 외면받았던 의자왕에 대해 다시 알 수 있어서 새로웠고 옛 땅 백제와 그곳을 이끌었던 이들의 이야기를 알 수 있게되서 좋았다. 역사의 중심에 서지못한 백제에 대한 그동안의 아쉬움이 조금이나마 해소되는 책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