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서 이불과 논어 병풍 - 이덕무 청언소품
정민 지음 / 열림원 / 2018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서 이불과 논어 병풍은 잘 몰랐던 이덕무라는 사람을 알게 해주었고 그의 청언소품을 잘 나타난 책이었다. 한서들이나 옛글들은 자연스럽게 학교를 졸업하면서 멀어졌다. 그 과정에서 계속 읽지않으니 그 뜻을 알기가 어렵고 그러다 보니 안읽게되는 악순환이 반복됬던 것 같다. 작가 정민은 문화의 단절을 해소하고 옛글에 있는 살아 있는 언어,지혜의 목소리를 전하기 위해 이덕무의 글들을 엮으셨고 이 책은 20년만에 다시 출판되었다. 이덕무라는 인물을 처음 알게 되었는데,정조때의 인물로 정조가 그의 책 읽는 소리를 아꼈으며 책 교정 말고 스스로 저작을 남길 것을 권면하여 정조가 그를 아꼈다고한다. 또한 그가 세상을 뜨자 정조는 국가의 돈으로 그의 문집을 간행케했다. 이덕무는 독서를 매우 좋아했으며 호한한 독서와 방대한 저작도 대단하지만 가난 속에서도 맑은 삶을 살려 애썼던 그의 성품이 대단하다고 생각했다. 그가 남긴 글을 읽으며 그의 문체에 반하고 그의 성품에 또 반했다.

그의 글을 해설과 함께 읽을 수 있다니 너무 좋았다. 군더더기 없는 해설과 한문으로 지어진 문장이 다이지만 그 여백때문에 이 글들이 더 깊게 들어와서 생각할 수 있었던 것 같다.



이덕무의 한겨울의 공부방을 보면 그의 가난했던 삶 속에서도 책을 놓치않았던 의지를 볼 수 있는데,


"공부방이 너무 추워 얼어죽을 것만 같길래 마당 아래 띳집으로 겨울 동안의 거처를 옮겼다. 띳집 천장에선 누런 띳물이 뚝뚝 떨어지고, 구들장엔 그을음이 스며들어 불이라도 때면 눈이 시어 뜰 수가 없었다. ...... 벼루도 있고 붓도 있고, 무엇보다 그때그때 보고 싶은 책이 있는 방, 날씨야 얼어죽지만 않으면 되니 더이상 이불 속 공부를 하지 않아도 되는 방."


그의 모습에서 대단함을 느끼고 나 자신을 반성하게 되었다. 나의 겨울날의 공부방은 어떤 모습이었는지 생각해보게되는 그런글.

그의 글에는 이런 보이지 않는 힘이 있다고 느꼈다.



또한 그의 글, 밀봉에서도 그의 그런 성품을 알 수 있는데, 공기가 새면 술은 상하며 먹을 수가 없다. 함부로 입을 열지 말고 입을 열어 알량한 제 재주의 밑바닥을 다 보여주지 말아라. 수구여병, 병마개로 밀봉하듯 말을 아껴라는 대목에서 진중한 그의 성품을 알 수가 있었다. 그의 글, 열매없는 꽃도 그의 방대한 저서들이 말해주듯 쌓아만 두고 그것을 저술로 묶어 정리해야함을 강조한다. "능히 해박하면서도 저술로 엮지 못함은 열매 없는 꽃과 같으니 금세 떨어지지 않겠는가? 저술은 잘 엮으면서 널리 해박하지 못하면 근원없는 물과 한가지라, 어느새 말라버리지 않겠는가?"라는 글에서도 글쓰기의 중요성을 이야기하며 쌓아만 두고 그것을 저술로 묶어 정리하지 않는다면 그는 열매 맺지 못함는 꽃일 뿐임을 지적하고 있다.



이 책을 읽으면서 가장 크게 느꼈던 장점은 옛글을 느낄 수 있게 된 것같다. 그리고 옛글 속의 교훈도 교훈이지만 옛글의 풍류를 즐길 수 있는 것만으로도 이 책을 읽을 이유는 충분할 것 같다. 자만과 이기심을 내려놓고 평온함과 이해심을 채워넣는 옛글의

아름다움을 느끼고 싶으신 분들께 이 책을 추천드리고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