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꼬마 한스 - 프로이트와 함께 아이 마음 읽기
진담 지음 / 지식과감성# / 2018년 6월
평점 :

<<프로이트의 정신분석 중 '꼬마 한스'에 대한 인간의 욕망이 억압되고
무의식화되는 과정을 쉽게 알려준다.>>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은 많은 사람들이 한번쯤은 들어봤던 단어일것 같다. 그중에서 심리와 관련된 공부를 했거나 거의 교양시간에 많이 배웠던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은 친숙하지만 그만큼 어려운 내용이기도 했었는데, <꼬마 한스>는 바로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중 대표적인 5분석 <쥐인간,늑대인간,슈레버,도라,꼬마 한스> 중에서 '꼬마 한스'에 대한 내용이다. 나도 유아교육과를 전공하고 있는데 특히 '꼬마 한스'에 대해 힘들어했던 기억이 있어서 <꼬마 한스>에서는 이 내용을 어떻게 다룰지 궁금했고 도움을 많이 받을 수 있을 것 같아 기대가 되었다.
이 책은 기초적인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에 대해 설명하는데, 중심적인 욕망과 무의식에 대해 설명하고 '꼬마 한스'에 초점을 맞춰 이를 설명한다. <꼬마 한스>는 한스 사례들은 프로이트가 구성한 논문 순서를 따라 전개되며 프로이트가 구성했던 순서인 '머리말, 병력과 분석',논평'순으로 이를 해설하였다. 프로이트의 논문의 순서대로 해설하고 있어서 이해가 쉬웠고 편했다. 그리고 초반에 이 논문이 진행될 수 있었던 배경에 대해서도 설명이 되어서 흥미로웠다.
이 책에 등장하는 한스의 이야기들은 논문에 있던 한스의 사례를 발췌하여 책을 전개하여서 좀 더 논문과 해설을 함께 보는데 도움이 되었다. 그리고 '꼬마 한스'에 대한 논문말고도 프로이트의 논문들을활용하여 이를 발췌하였기때문에 중간에 조금 사례가 부족했던 부분도 부담없이 이해가 쉬었던 것 같다. 또한 유아교육학이나 아동심리에서 배우는 내용이기때문에 앞으로 학과공부를 하는데도 도움이 될것 같았다.
이 책이 독자분들께서 프로이트에 대해 가졌던 편견을 바꾸는 계기가 될 것 같았다. 압축적인 개념들이 프로이트의 이론에 담겨있기때문에 이에 대한 내용이 잘 이해되는가를 중점적으로 생각하며 책을 읽었는데, 개인적으로는 이해하기에 크게 부담이없었다. 사실 프로이트 이론을 깊게 파헤치는 내용은 아니라서 프로이트의 정리분석학의 심화적인 내용을 기대했다면 아쉬울 수도 있을 것 같다. 하지만 프로이트의 기초적인 내용과 '꼬마 한스'에 대한 내용을 이해하고 그가 가진 무의식과 욕망에 대해 이해하기에 가장 접근이 쉬울 것 같았다.
개인적으로 유아교육이나 아동심리,아동학과분들께 추천드리고 싶은 책이었고 '꼬마 한스'에 대한 논문을 이해하는데 참고자료로 써도 좋을 것 같았다. 그 밖에 프로이트에 대해 관심이 있으시거나 편견이 있으셨던 분들께도 추천드리고 싶었고 프로이트의 이론을 어렵게 느끼셨던 분들이 읽어보면 좋을 것 같다고 생각했다. 프로이트의 견해에 대해서 아직도 논쟁거리들이 있지만 아동을 이해하는데 알아야할 내용이라는 생각을 하기에 아동을 통해서 보는 욕망의 억압과 무의식에 대한 모습을 정말 잘 보여주는 '꼬마 한스'에 대해 해석한 <꼬마 한스>를 추천드리고 싶다.

파편하된 잔해로 묻혀 있는 어른들의 억압된 성적 충동과
욕망들을 힘들게 풀어내는 것보다,
순수함으로 가득찬 아이들에게서 이것을 직접적으로 알아낼 수 있지 않을까?

무의식은 우리에게 낯설게 느껴지는 이방인과 같다.
그것은 우주의 암흑 물질처럼 우리 눈에 보이지는 않지만
우리에게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으며, 때로는 바퀴벌레처럼 불쑥 나타나
우리를 당황시키고 불쾌감을 느끼게 하는 이방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