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무래도 그림을 사야겠습니다 - 멋을 아는 사람의 생애 첫 미술 투자
손영옥 지음 / 자음과모음 / 2018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 점의 그림으로 매일 보는 평범한 공간이 휴식과 영감을 주는 장소가 된다면

애정하는 작가의 작품을 나만의 작품으로 마주하게 된다면... 그림을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언젠가는

꿈꾸게 되는 하나의 과정이 아닐까?

미술품 구매에 대한 구체적이고 소소한 팁들을 상세하게 소개하고 있어서 당장이라도 쌈지돈을 풀고 싶게

만드는 한권의 책.

같은 금액으로 명품백을 살것인가 미술품을 살것인가?하는 설정이 재미있으면서도 참 현실적으로 와 닿는다.

소비를 비교할때 우리가 느끼는 체감온도는 종목에 따라 참 다르게 느껴진다. 특히나 실생활에서

미술품은 어떤 기준으로 보느냐에 따라 실행에 옮기는데 많은 영향을 미치는 부분이기도 하다.

내가 미술을 접하게 된 계기는 아이와 정기적으로 나서던 미술관 나들이가 그 시작이다. 아무 정보도 없었고,

단지 미술관에서 만나는 작품들을 통해 많은 작가들의 시각으로 탄생하는 작품들을 보는 재미가 좋았다.

그렇게 사소한 관심으로 시작된 일을 통해 조금 더 가까이에서 미술관의 작품들을 만나는 일들을 하고 있지만

해설하게 될 새로운 전시를 고르는 일은 내게 미술품구매와 같은 설레임을 갖게 한다.

 

미술관의 소장품을 중심으로 근간의 신소장품, 동시대의 가장 이슈가 되는 분야의 작품들을 접하게 되는 과정

에서 늘 많은 것들을 배운다. 이 책을 읽으며 가장 재미있었던 부분은 과거에 해설을 했던 작가나 작품관련 에

피소드를 읽을때와 지금 현재 해설하고 있는 작가들의 작품이야기를 소개하는 부분이었다.

민중미술은 한국의 민중화 운동과 함께했던 현실참여 미술을 말하는데 권력과 자본에 대한 비판, 노동자의 저항

수탈당하는 농민등이 단골주제로 등장한다. 최루탄 시위 현장의 대형 걸개그림으로도 걸리는 학생, 노동운동이

있는 장소에 함께하는 작품들인데 주로 선동적인 주제, 거칠고 직설적인 표현 때문에 정권으로부터 탄압을

받아온 분야의 작품들이다. 민중미술은 근간에는 사회 문제를 다루는 작품들을 통칭하는 분야의 미술인데

실제로 민중아트MinjungArt라는 고유명사화가 되어 전 세계에 알려진 한국현대미술의 성과로 대표되는 부분이다.

작년가을에 K현대미술관 초대로 다녀온 전시에서 만났던 전혁림작가의 이야기도 반갑게 소개되어있다.

유화로 그려진 오방색 그림같은 느낌의 전혁림의 작품은 작가의 고향인 통영바다 풍경을 구상과 비구상의

조형언어를 사용해 코발트블루의 주조로 원색화면에 담은 작품들이다. 노무현 전 대통령이 반해서 구입해

청와대에 걸어놓은 작품으로도 알려져 있다.

프랑스와 우리나라의 중산층에 대한 개념의 차이를 읽어보며 참 안타까웠다.

한국의 중산층의 개념이 집이나 차의 크기처럼 과시적인 것에 비해, 프랑스의 기준은 문화 향유와 더불어 사회

정의가 흔들릴때 이를 바로 잡기 위해 나설 줄 알아야 한다.는 휴머니즘의 실천여부에서 다르게 인식하고 있다

는 부분은 우리가 한번 쯤 생각해 볼 문제이기도 하다. 입시지옥을 거쳐 대학을 가서도 그 후의 진로가 불안한

사회를 살고 있는 우리의 현실적인 부분이 반영된 결과 같아서 아쉽다.

 

지금 미술관에서 동시대  다채널비디오 작품으로 해설하고 있는 작가의 작품이다.

아무래도 미술품구매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부분은 이런 미디어아트작품보다는 회화가 대부분임을 책을 읽으며

다시한번 확인하게 되는데 아무래도 설치자체가 메뉴얼이 필요한 아트작품들은 일반인들이 구매하고, 설치하기

에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단순히 회화작품에 국한되지 않고 조각이나, 미디어 아트 작품에 대한 구매팁이라

거나 추후 보관문제에 관한 부분까지 꼼꼼히 다루고 있는 책덕분에 나도 많은 것들에 눈을 뜨게 되었다.

 

2016년 광주 비엔날레에서 인상깊게 만났던 작품을 요즘 미술관에서 해설작품으로 만났는데 역시 감개무량해

질 수밖에 없다. 예술하는 습관, 예술가들이 작품을 구상하고, 창작해 가는 과정은 과히 그 자체가 수행이라고

할 만한 작가들이 꽤 많다. 피렌체의 메디치 가문처럼 거대한 재산가는 못되지만 신중하고, 거시안적인 안목을

가지고 컬렉터로서 그림보는 역량을 넓혀 볼 절호의 기회이다.

저자가 스스로 미술품구매의 경험을 쌓기까지의 여정을 꽤 세심하게 풀어놓아 당장 미술품구매를 하지 않더라

도 안목을 키워나가는 방법들을 소개하고 있다. 그 과정에서 미술계 등단이라든가 레지던시, 아트페어등 다양한

방법으로 미술품을 보는 여러 요소들에 대한 궁금증이 많이 해소되었다.

미술관이나 갤러리에 찾아가서 만나는 그림에서 벗어나 나만의 미술품을 소장하는 컬렉터가 되어 가는 과정은

미술시장을 보는 또 다른 커다란 시야를 필요로 하고, 또 그 과정에서 자연히 키워질수 밖에 없는것 같다.

참 재미있고, 쉽게 쓰여진 컬렉터가 되기 위한 A to Z 상세 설명서.

아무래도 그림을 사야겠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