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다시 프로이트, 내 마음의 상처를 읽다 - 일과 사랑, 인간관계에서 힘들어하는 이들을 위한 정신분석학적 처방
유범희 지음 / 더숲 / 2016년 6월
평점 :
"정상적인 인간"이란 평균적 의미에서 정상일 뿐이다.
정신분석학이라는 용어가 요즘엔 낯설지 않다. 정신분석학이라고 하면 프로이트를 빼놓을수
없고 점점 복잡해져 가는 시대인 요즘엔 그만큼 사람들의 마음에도 귀기울여 봐야하는 때다.
근간에 읽었던 책들중에 정신분석학, 심리학 같은 종류가 많은것을 보면 얼마나 요즘
마음다스리기가 중요하고 필요한지 알만하다.
이책은 30여년간 일선에서 여러다양한 사례들의 상담을 경험한 저자의 정신분석학의
기본가이드같은 느낌이다.
표제에서도 이야기 하고 있듯이 정상적인 인간이라는 범주는 참 애매하다.
상황에 따라 참 복잡미묘한 인간의 감정은 본인스스로도 미처 깨닫지 못하기도 하고
객관적이지도 못하다.
"당신의 무의식은 괜찮은가?"라고 묻는 저자의 말처럼
우리의 행동반경은 스스로 인지하지 못하는 가운데서도 무의식의 세계에서 출발한다.
무의식을 마음한켠에 묻어두는 행위를 '억압'이라고 하는 것 처럼 무의식이라는 세계는
우리마음속의 꽤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의식의 매커니즘이라고 할수있겠다.
그림으로 보아도 참 마음이란건 복잡할수 밖에 없는것 같다. ^^
스트레스와 방어기제,기억의 매커니즘, 자기애와 인격장애, 꿈의 연관관계, 불안과 우울,
대인공포등등 참 복잡하고 다양한 여러가지 원인들의 출발점에는 무의식적인 개개인의
여러가지 사소한 경험들이 계기가 된다.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에 관한 출발은 100년도 더 전에 시작되었지만 우리나라는 이보다도
훨씬 시작이 늦다.
그나마 다행인건 여러방면에서 인간심리에 대한, 정신분석에 관한 적극적인 관심들을 반영하고
있다는 점이다.
개개인이 무의식의 세계를 돌아보고, 스스로의 치유의 시간을 갖는것에서 출발하여
다른사람의 마음을 읽는 방향으로 공감을 만들어 가는것,
시작은 늦었지만 정신분석학 이라는 개념의 인지나, 중요성을 자각하기 시작한것은 넓은
의미로는 치유가 시작되었다고 보아도 좋을것 같다.
참 복잡하고 어려운 세상이지만 그럴수록 개개인이 스스로의 마음의 소리에 귀를 귀울여야
하지 않을까 하고 생각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