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화를 멈출 수 없을까? - 지금 당신에게 필요한 건강한 분노 처방전
가타다 다마미 지음, 노경아 옮김 / 생각정거장 / 2016년 7월
평점 :
절판


"착한 사람이 되려고 노력한 사람일수록 분노를 쌓아둔다?"

 

<분노조절장애>라는 단어가  매스컴을 통해  등장하는 사건이 많이 발생해서 깜짝깜짝 놀랄때가 많은 요즘이다.

상상도 할수없는 그런 놀라운 사건들에 등장하는 피의자들은 의외로 조용하고 화를 잘 내지 않는 평범한?!

사람들일 경우가 많아서 더 놀랍고 당황스럽다.

묻지마사건의 피해자는 아무이유없이 누군가가 불특정대상이 되기때문에 더 불안할수 밖에 없다.

사회가 복잡해지고, 발달할수록 사람들의 정신건강에 대한 관심을 높여야 하는 이유도 그 때문이다.

 

더불어 사는 사회를 살고있지만 개인의 중심적인 생활영역이나 스트레스도 그만큼 늘어나기때문에

사람들과의 관계나 스스로의 정신건강을 잘 다스리는게 중요하고, 또 꼭 필요한 요소이다.

 

분노"라는 단어는 나쁜감정이라는 선입관이 있다.

따라서 좋은 사람은 분노가 없는 사람이라고 생각하기 쉽다.

좋은 사람이 되려고 하는 사람일수록 분노를 숨기고, 감정이 없는 듯이 행동하게 되는 폐해를

다양한 사례로 예로들어 그 부작용의 사례를 들려준다.

분노라는 감정이 없는 사람이 좋은 사람이 아니라 분노라는 감정을 스스로 자각하고 조절할줄 아는

사람이 좋은 사람이고, 성숙한 사람이다.

저자는 "우리의 미덕의 가면 밑에는 악덕이 숨겨져 있다."라는 <잠언>의 말을 인용하여

화내지않고 좋은사람인척 하며 관대함을 과시하는 모습을 겉치레라고 단정지으며  분노공포증이라고

표현한다. 분노공포증을 탈출하려면 그런 허영심을 버리고 스스로의 내면에 쌓아두고 고심하지 말것을

강조한다.

분노를 표현하지 못하고 계속 쌓아두면 고질병이 되어 심신의 병만큼이나 심각한 정신적인 질환으로

발전할수 있고, 더 나아가 사회생활이 힘들어 질수 있음을 경고한다.

 

정신분석학을 전공하고 많은 사람들의 상담경험을 가진 저자는  다양한 사례들을 들려주어 일상에서 우리가

공감할 만한 이야기들을 통해 분노의 다양한 모습을 생각하게 한다.

소심한 분노의 표출은 자기애의 다른 표현이라는 부분은 우리스스로도 자각하지 못하는 사이 다양한 형태의

분노들을 표출하는 모습들을 생각하게 한다.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억압된 것은 회귀한다(Return of the repressed)."는 이론은 분노의 감정에도 해당한다.

따라서 유아기의 부모와의 애착관계부터 시작하는 인격형성의 과정에서부터 인간의 감정에 관한 하나하나의

경험들은 어느날 갑자기 생성되는 결과물이 아니다.

 

일상에서 우리가  느끼지 못했던 소소한 분노에 관한 소심한 행동사례들을 통해 저자가 처방하는

똑똑하게 화내는 방법을 통해 분노를 다스리는 현명한 방법을 우리모두 적극적으로 실천해보는

노력을 해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