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드림 Do Dream - 영웅들의 성공 비밀
MBN Y 포럼사무국 지음 / 매일경제신문사 / 2016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렇게 기발한 제목이라니!

요즘 종합편성채널이 주목을 받고있고, 기발한 프로그램으로 이슈가 되곤하는데 이책도 종합편성사의 Y포럼이라는

주제로 젊은세대의 도전정신을 일깨우기 위한 기획으로 제작된 책이란다.

근간에는 학교에서도 진로에 관한 특강이나 수업들이 많이 활성화되어있어서 참 반갑긴 하지만 진로라는것이 여전히 막연하고 쉬운 주제는 아니다.

점점 더 어린나이부터 진로에 관하나 고민들을 하게되는 현실이 참 팍팍하지만 그런면에서 이런책들의 출간이 반가운것또한 사실이다.

이책도 아이와 함께 읽어볼 목록에 추가해본다.

 

꿈을 실천하는 목록으로 '버킷리스트(Bucket List)를 작성하는 사람이 많다.

나도 늘 해마다 연초에 빼놓지 않고 하는 일중 하나이다. '죽다'라는 뜻으로 쓰이는 속어인  Kick the Bucket에서 유래된 올가미를 목에 두른뒤 뒤집어 놓은 양동이에 올라간 다음 양동이를 걷어차 처형했다는 데서 유래된 말이다.

그만큼 절실하게 이루고 싶은 목록을 칭하는 말이다.

그 Bucket list를 실천하기 위한 방법으로:

 

다르게 생각하기! 참 쉬운것 같으면서도 어려운 부분이다.

특히나 사춘기를 보내고 있는 아이는 남과 다른것을 망설이는  눈치다.

조금 더 아이보다 많이 경험해본 엄마눈엔 참 안타깝고 아쉬운 부분이지만 아이또래의 내 어린시절을 생각해보면

그것이 전혀 이해가 안되는 부분도 아니긴하다. 그렇지만 여전히 안타까운 마음은 어쩔수가 없다.

스티브잡스의 스탠포드대학 졸업식의 명연설은 한창 TV광고에도 자주 등장할만큼 유명한

일화이다.

남들이 가는길을 따라가는 사람보다 조금 외로울수 있으나 다른길을 과감히 도전해볼수 있는 청춘이길 바라는 인생선배로서의 내 마음을 아이도 알아주길!

 작년가을 정동진의 기차박물관에서 아인슈타인의 시계를 본적이 있다.

시간의 상대성. 좋아하는 일을 찾아 그일에 집중하는것은 시간도, 어려움도 장애가 되지 않는다.

관심있는 일에 몰두하는 재미를 느끼다보면 성공은 덤으로 따라오는것이 아닐까하고 생각해본다.

좋아하다보면 잘하게 되고, 좋아하는 일에서 느끼는 성취감의 반복을 경험하다보면

더 크고 어려운 일에 도전하는 힘이 될것이 분명하다.

처음부터 큰 목표를 갖는것도 중요하지만 작은 성취를 반복해서 이루어 가는것을 추천하고싶다.

 

두드림을 읽으며 크게 공감했던 부분이 바로 스스로의 성취를 단정짓는 부분이었다.

이만큼만 하면 됐다!는 스스로의 한계를 짓는 일은 자칫 마음을 비운다는 허울을 쓰기도 하지만

힘들어질것을 미리부터 겁먹고 비겁하게 도피하게 되는 경우도 있다.

 

성공의 열쇠가 바로 눈앞에 있는데 1%의 노력이 부족한 경우 아쉽게도 실패하게 되는 경우도 있을것이다.

스스로의 목표나, 능력의 한계를 섣불리 규정짓는 실수를 피하는것 또한 중요한 몫인거 같다는 생각을 했다.

허황된 꿈과 스스로의 능력의 한계치를 구분하기 힘들다는 점 또한 두드림(Do Dream)이 쉽지않은 이유이다.

이 책의 취지는 성공한 사람들을 분석한 행동수칙의 한 단면을 보여주고자 하는 시도임을 알수있다.

그런데 성공의 성취를 이룬사람들을 영웅이라는 호칭으로 제시한부분은 독자의 입장에서 좀 불편했다.

노력에 대한 성공을 이룬 사람들은 분명히 영웅이라고 불리울수 있으나, 성취하지 못한 사람들은 그 노력의 여부와 상관없이 영웅이 아닌것일까?하는 결과론적인 단정이 씁쓸하다고나 할까?

실패는 불필요한 전혀 헛된 일이 아니라 성공을 위한 초석이 될것이 분명하다고 생각한다.

어쨌튼, 책의 말미에 <두드림 실천법>으로 제시된 여러가지 목록중 금지 목록은 한번 시도해보고싶은 항목이다.

버킷리스트를 실천하기 위한 자투리시간을 줄이는 목적으로 참 유용한 방법같아서 인상적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