휘둘리지 않는 힘 - 셰익스피어 4대 비극에서 '나'를 지키는 힘을 얻다
김무곤 지음 / 더숲 / 2016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세익스피어의 4대비극은 참 넘기 힘든 산같은 심오함이 있는 주제이다. 그렇지만 너무 익숙해서 마치 다 읽은것같은 시리즈중 하나.

이책이 참 좋았던것은 어려운 세익스피어 4대비극의 고정관념을 깨는 다른 시각을

열어주었다는 점과 이런 관점으로 이 시리즈들을 한번 도전해볼수 있겠다~하는 점이었다.

요즘 자아성찰에 관한 책들이 참 많이 쏟아져 나오는데 다양한 책들의 주제는 스스로를 찾는,

보는 시각을 열어주는 것이다.

가장 잘 안다고 생각하는 내 스스로의 내면 들여다보기. 그리고 주위의 사람들을 제대로 보기.

이책에서 주는 요지가 아닐까하는 생각을 했다.

"죽느냐 사느냐 이것이 문제로다."라는 한 문장을 빌어 햄릿을 고뇌의 아이콘으로 알고있던

많은 사람들에게 저자는 쐐기를 박는 날카로운 시선을 세익스피어의 4대비극의 등장인물들을

통해 대변하고 증명한다.

총 9명의 시각으로 보여지는 '생각의 중심'들을 읽다보니 깜짝 놀랄수밖에 없는 공감들이

느껴진다.

세익스피어의 4대비극을 읽지 않았어도 너무나도 익히 알고 있는 주요등장인물의 캐릭터가

새삼 낯설게 혹은 더 친근하게 느껴진다.

세익스피어 원작의 햄릿속의 장면장면들을 화면위로 부곽시키며 저자는 간결하게 햄릿을

고뇌하는 인간의 전형에서 좀더 입체적인 인물임을 일깨워준다.

익히 잘 알려진 작품이다보니 오히려 선입관을 가지고 이책을 이해하게 되는데 오랜세월 세익스피어를 탐독했던

작가의 경험을 통해 넓은 시각으로 이 작품을 접하게 되는것이 참 반갑고 다행이라는 생각을 했다.

사람관계만큼이나 문학에 대한 섣부른 판단도 가끔은 독자를 눈멀고 귀멀게 하는 경우가 많은것 같다.

그런의미에서 쉽지않은 이 주제를 부곽시키고 정리해준 작가에게 고마움을 느낀다.

넓은 시야를 갖기위한 독서에서 제일 피해야 하는 덕목이 바로 선입관이 아닐까?

각각의 논제에 대한 이야기를 할때 작가는 책속의 구절을 그래도 인용한다. 원작의 끊어읽기같은 효과로 인해 실제로 햄릿을 읽을때 이런 구절들에 대한 시점을 미리 가이드해주는 느낌을

받았다.

가장 핵심이 될만한 주제를 간과하지 않기 위한 최소한의 장치같다는 느낌이랄까?

햄릿의 가장 주요인물에서 살짝 비켜나서 생각해 보지 못할 이야기의 시점과 인물탐구를 통해

세익스피어가 작품에서 하고자 했던 의도에 좀더 가까이 다가갈수 있는 기회가 되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진실한 친구이자 충직한 참모로, 햄릿이 호레이쇼를 마지막순간까지 기대게 하는 부분은 이

작품이 전개되는 과정의 날카로운 하나의 설정이 아니었을까 하는 생각을 해보았다.

이외에도 <리어왕>이라는  작품을 통해 자기중심적인 사람들에게 경종을 울리는 이야기의

논제들과 <맥베스>를 통해 욕망이라는 주제를 <오셀로>를 통해 휘둘리지 않은 삶에 대해 이야기 한다.

각파트별로 이야기의 줄거리를 미리 접할수 있어서 세익스피어의 작품들을 읽지 못한

독자들에게 이책을 이해하는데 단비같은 코너이다.

세익스피어 제대로 읽기 내지는 세익스피어 작품속의 인물탐구하기의 새로운 접근을 통해

좀더 주체적이고 객관적인 독서에 관한 의지가 굳어졌다고 한다면 과연 이책을 읽은 효과가

읽기전과 읽은후의 시야차이가 꽤 많을 거란 생각에 뿌듯한 아침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