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끔은 격하게 외로워야 한다 - 내 삶의 주인이 되는 문화심리학
김정운 글.그림 / 21세기북스 / 2015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느날 TV에서 퍼머머리의 괴짜같은 이미지로 등장하여 강한 인상을 남겼던 문화심리학자 김정운의 근간이다.

"난 이제 내가 하고싶은 일만 한다."고 이야기하며 내놓는 그의 책들또한

<노는만큼 성공한다> <나는 아내와의 결혼을 후회한다><남자의 물건>..등등 제목부터가 헉~ 할만큼 과히 파격적이다.

간혹 방송에서 보여지는 그의 이미지또한 내게는 그리 호감형이 아니었고, 뭔가 선정적이기까지 한 책제목들이 그리 끌리지는 않았다.

그러다 어느날, 구독하는 신문에서 그리고 아이 치과대기실에서 우연히 그의 글들을 접하게 되었다.

글을 보면 어느정도 그사람이 보인다.

막 던져대는것 같는 느낌마저 들던 그 사람에 대한 인상이 조금씩 바뀌고 심지어 시원시원한

느낌마저 들기 시작했다.

그렇게 언젠가부터 나는 그의 책들을 모조리 읽어보는 애독자가 되었다.

이번책은 저자가 일본에서 50이 넘은 나이에 그림유학을 하며 그린 그림들이 표지부터 수록되어

있다.

신문에서 간혹 명화패러디를 재미있게, 그럴듯하게 한 그의 그림들이 재미있었는데 본인 스스로는 꽤 만족하고 즐거워하는게 글에서 묻어나온다.

뭐 그게 그리 나쁘게 보이지않고 심지어 재밌기까지 하다.

적극적으로 행복한 삶을 위해 움직이는 그의글에서, 행동에서 묘한 대리만족이 느껴진다.

좋아하는 일을 하면 느껴지는 설레임에 대한 공감이 어떤건지 와닿아서 고개가 절로 끄덕여진다.

사나흘에 걸쳐 그림작업을 하고 글을 쓴다는 작가의 글과 그림이 재미있게 묘하게 매치가 된다.

아이가 어릴때부터 수많은 그림책들을 접하고, 또 책들을 접하면서 글작업과 그림작업을 스스로

할수 있는 사람들이 참 부러웠다. 나도 가끔은 글보다는 그림으로 뭔가를 표현하고 싶은 소망이

있지만 역시나 그림은 쉽지않다. 그런의미에서 김정운은 참 많은 재능이 있는 사람이라는 생각도

해본다.

물론 그만큼의 노력이 있었다는것도 인정!!

'이별에 대처하는 자세!' 뭐 그런걸 김정운 버젼으로 하면 '노안에 대처하는 우리의 자세'정도 가

될까?

이 부분을 읽으면서 근간에 노안이 오고 있는 남편에게 읽어주며 한참을 깔깔거리기도 했다.

물론 남편은 자기를 놀린다고 생각했을수도..;;

 


문화심리학자라는 타이틀답게 그의 책들은 유쾌한 농담같은가 싶으면 또 과히 가볍지만은 않은 주제들을 던져준다.

특히나 이번책에서는 그의 사생활을 사진과함께 엿볼수 있는기회가 많다. 꽤 많은 책들을 읽는다는것과 여전히 공부중이라는것과

늘 새로운것들을 용기있게 시도하고 목표로 하고있다는것이 느껴진다.

나는 개인적으로 나태한 사람은 별로 좋아하지 않는다. 그렇다고 너무 유난(?!)을 떠는 사람도 좋아하지 않는다.

적당히 부지런하며 유쾌하고 밝은 에너지의 사람이 좋다. 아~~ 역시 나란여자도 쉬운여자는 아니네 ㅋㅋ

어쨌튼, 난 그래서 이 저자가 점점 마음에 든다.


만화컷을 연상시키는 이 사진을 보니 괜히 나까지 기분이 좋아진다.

이모티콘이 없음 사랑이 없는거라 생각하던 초등시절의 딸래미때문에 나도 요즘은 종종,

아니 자주 이모티콘을 쓴다. ^^ 가끔은 말보다 그림하나가, 사진하나가 더 정확한 의사표현을 하는것 같기도.

발터 벤야민을 앤디워홀식으로 구성하며 본인의 사진을 저렇게 슬쩍 넣어둔것을 보며 이것역시 김정운스럽다

생각하게 만든다. 발터벤야민이 이 그림을 보면 어떤 표정을 지을지 괜히 상상해 보았다.

 

엊그제 친정아빠에게 전화를거니 70이 넘은 우리 아빠 열심히 중국어 공부를 하고 계신다.

그러면서 나에게도 어떤사이트가 재미있다느니 추천도 잊지 않으신다.

나는 우리아빠를 떠올리면 늘 뭔가를 기록하고 부지런한 모습이 동시에 오버랩된다.

그런 아빠의 모습이 나는 늘 좋았다.

 

저자는 나이가 들면서 가장 주의해야할것이 바로 인지구조의 불균형이 되는거라고 이야기한다.

인지구조는 아무리 새로운 자극이 있어도 자신이 이미 가지고 있는 인지구조를 전혀 바꾸지 않는

경우를 편견이라고 하는데 '조절'만 일어나고 '동화'는 전혀 일어나지 않는 경우가 된다고한다.

이분법적 사고또한 전형적인 편견의 한 유형이라고 이야기한다.

그러고보니....나도 종종 이분법적인 잣대를 들이밀고 우기는 경우가 있다;; 나 늙어가는 건가? 헉;;

 

올해 목표를 바닷가 마을에서 그림을 그리고, 진돗개를 키우며 적당히 고독을 즐기며 글을 쓰고 싶다는 저자을 응원한다.

그리고 내삶의 주인이 되고싶은 주변의 사람들또한 응원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