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신만만 학생부 & 자소서 - 자소서의 신이 만든 만점 학교생활기록부 & 자기소개서 (학생부종합전형 완벽 준비서)
배영준 지음 / 키출판사 / 2015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학창시절의 이력을 고스란히 담고있는 학생부!

근간에 입시의 당락을 가르는 가장 큰 쟁점이 되고있는것이 학생부와 자기소개서이다.

대학입시의 기준이 해마다 변동폭이 심하고 한창 특별전형이다 뭐다 분야가 방대하여 실제로

일선에서 진학진로상담을 담당하고 있는 선생님조차 간과하고 넘어갈수 밖에 없는 전형들이

많다.

의례껏 진학을 위한 전담학원들이 생겨나고 늘 귀를 열어두고 있어도 변화에 따라갈 여력이

턱없이 부족한것이 현실이다.

 

아이가 더 어릴때 특목중을 위한 준비를 해본 경험을 돌이켜봐도 자소서에 대한 비중이 꽤 높고 막연하기만 했다.

이제 고작 아이가 중학생임에도 나는 꽤 여러번의 입시변화에 대한 혼란을 몸으로 체험했다.

실제로 영어인증시험에 관한 국가인증시험(NEAT)이 떠들썩한 이슈로 떠올라 학원가들에서,

혹은 출판계에서 그야말로 홍수와 폭풍이 치던 시절이 있었는데 그런 큰기준조차 믿을수가

없는것이 현실이다.

 

아이와 그나마 오랫동안 영어라는 과목이라도 잡고 있어서 그나마 우린 좀 간과하고 조용히

넘어갔지만 그 한가지 사례만 보아도 흔들리는 교육정책속에서 그야말로 엄마가,

혹은 아이가 중심을 잡고있지 않으면 진작부터 지치고 나가떨어질 지경이다.

 

입시를 목표로 하는것이 아니라도 개인적으로 나는 학생기록부의 중요성을 개인적으로 욕심내고 있는 편이다.

학창시절의 기록으로 평생가지고 갈 기록인데다가 가장 기본적인 아이의 이력의 소산이기 때문이다.

실질적으로 자기소개서가 중시되는 요즘에는  학생기록부가 소개서를 작성하는 기초가 되는 것이기때문에 평소에 학교생활에서 신경을 써야할 부분이다.

 

입시의 큰 변화로 인해 학생부와 자기소개서가 화두가 되면서 요즘 왠만한 학원가에선 설명회가 참 많이도 열린다.

그런데 설명회의 가장 큰 줄기는 가장 최상위클래스의 기준만을 열거하고 소개하고 있다.

설명회를 듣고 있자면 과연 이 많은 엄마들이 다 최상위를 목표로 공부하도록 자녀들을 이끌고 있는것인지 의문이 생길수 밖에 없어서 씁쓸하다. 설명회의 말미에는 그.래.서 학원소개로

이어지는 자연스러운 진행이 된다.

아이러니하게 설명회를 다녀오고 나면 뭔가 더 큰 숙제를 떠안은듯한 느낌을 지울수가 없다.

 

<자신만만 학생부&자소서>는 국내에서 꽤 많은 설명회를 강의하는 저자의 자료들과 사례들을 글로 모아두었다.

막연할수밖에 없는 학생기록부의 작성예부터 자기소개서로 연결하는 과정을 아이가 희망하는 

분야별로 학년진급과정에서 어떤식으로 진행할지에 대한 팁을 주고 있다.

두리뭉실하게 듣고나면 더 복잡해지는 설명회가 아니라 필요에따라 찾아볼수 있는 편리함이

바로 책으로 보는  잇점이 되는것 같다.

 

사례분석을 통해 어떤 부분이 비중이 높은지도 알려주고 필수항목이 된 봉사활동도 시간으로만 조건을 채우는것이 아니라 그과정에서 동기와 부합한 어떤 효율을 얻어내었는지도 스토리를

만들어가도록 제시한다.

학생부가 팩트(fact)의기록이라고 한다면 자소서는 그 기록을 이용한 스토리의 형성이라고 할수 있겠다.

결론적으로 좀더 일찍 아이의 진로를 계획하고 나름대로 일관성있는 변화를 기록할수 있도록 

미리 준비해야 한다.

 

입시가 복잡하고 다양해 질수록 가장 중요한 핵심은 조금 더 일찍 스스로의 진로를 고민하고

학창시절을 설계하는것이 무엇보다 지치지않고 시간과 노고를 줄이는 방법이라는 생각이다.

입시가 다양해지고 복잡해 지는만큼 그만큼의 정보의 홍수에 빠지기 쉬운데 그런때일수록

중심을 잡고 본인의 진로에 대한 진행과 변화를 위한 눈과 귀는 또 열어두어야 하니 참

쉬운일은 아니다. ^^

 

이 책한권이 입시의 모든것!을 대변하고 설명할수는 없지만 가장 큰 핵심은 좀 미리 본인의

미래를 고민하고 숙고하는것이 가장 큰 자기주도의 기본이 아닐까하는 생각이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