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 BOOn 8호 - 2015년
RHK일본문화콘텐츠연구소 편집부 엮음 / RHK일본문화콘텐츠연구소(월간지) / 2015년 3월
평점 :
품절



일본문화 컨텐츠 잡지 8호.

Boon은 표지에서부터 일본색이 많이 느껴지는 전형적인 일본풍의 저널이다. 격월간으로 출간이 되고 거의

대부분 컨텐츠가 흑백으로 소개되어진다.

저널의 통념상 알록달록 화려한 저널이 아니라서 오히려 신선했다. 가방에 쏙~ 넣어다니기 좋아하는 나는

제본부터가 마음에 든다. 간혹 컬러의 생생함에 익숙한 습관때문에 갑갑한 코너가 있는것도 사실이긴 하지만

어쨌튼, Boon때문에 요즘은 일본작가의 책에 관심이 많이 가는것도 사실이다.

대략적인 컨텐츠는 매월 동일하고, 포맷도 같은 형식이다. 7호부터 봤기때문에 연재소설의 꽤 많은 분량을 의미없이

읽어버리긴 했지만 이번호 부터는 새로운 연재가 시작되었다.

꽤 많은 분량의 연재소설이 매월 수록된다.  찔끔찔끔 궁금증 자아내고 질질 끌것 같지 않아서 반갑기도 하다.

이번호부터 연재되는 소설은 우와~ 엄청 사이코패스적인 동생을 둔 여인의 이야기이다.

첫회부터 흥미진진하다. 생각보다 수위가 높아서 깜짝놀랐다.


이번호의 작가이야기는 훈남작가 히라노 게이치로에 관한 이야기이다. 매번 느끼는 거지만 Boon의 작가소개는

가상 인터뷰형식,다양한 방식, 계층의 접근으로 꽤 많은 정보와 다양한 접근으로 작가에 대한 정보와

궁그증을 해결할수 있다. 컨텐츠 잡지답게 다양한 방식의 컨텐츠로 한작가를 소개하는 방식이 마음에 든다.

 

이번호에서 재미있게 읽은 컨텐츠중에 크로스 컬쳐에 관한 파트이다.

다큐멘터리 영화와 세씨봉 영화같은 컨셉으로 한동안 꽤 이슈를 불러왔던 영화 <님아 그강을 건너지마오><국제시장>

이 소개되고 분석되어지는 기획이었는데 두 영화를 다 본 입장에서 공감하고 고개를 끄덕이게되는 주제였다.

일본하면 빼놓을수 없는 <닌자 모노가타리> 사실 나도 닌자에 관한 이야기를 일본관련도서나 컨텐츠보다

영어책을 아이와 읽으면서 더 많이 접해왔다. 가깝고도 먼나라 일본의 문화를 어찌보면 살짝 서양의 시선으로

겹쳐서 보아왔기 때문에 낯설고 왜곡되게 알고있는 부분이 많을텐데 이번 특집기사에서는 닌자에 대한

다양한 문화코드를 비교 설명하고 있다.

일본문학의 출판동향과 신작들을 소개하는 코너도 흥미진진하고 궁금증을 유발하는 책들이 많다. 근간에는 외국작가의

책들이 동시출간되는 경향도 있으나 출간이 바로 되지 않더라도 관심있는도서나 최근의 일본출판동향을 알아보는

코너로 참고하기 좋겠다.

 

 사실 나도 <원피스>를 보진 않았으나 워낙 유명하고 인기있는 캐릭터라 친근하긴 하다. 책내용이야 어찌되었든.

"잇테키마스" "사요나라"보다는 뭐 마음에 든다. ^^

유일하게 Boon에서 컬러수록이 되는 페이지.

벚꽃 만발한 성곽이 고즈넉하고 낯설지 않다. 아이와 꽤 오래전에 일본에 갔을때 <다자이후 덴만궁>에 갔었다.

일본은 이런 다양한 규모의 궁들이 많은데 그곳에는 황소동상이 꽤 유명했다.

 

황소동상을 만지면 공부잘한다는 그 미신(?!) ^^ 에 따라 우리도 엄청나게 황소를 만져보고 왔었다는!

꽃소식이 시작된지 엊그제 같은데 이사진을 보니 벌써 벚꽃보기가 힘들어졌다는 생각이 든다.

일본 성곽은 아니지만 우리나라 고궁에 봄의 정경을 만킥하러 나서봐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