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에 들어온 인문학 - 사람과 세상이 담긴 공간, 집을 읽다 푸른들녘 인문교양 2
서윤영 지음 / 들녘 / 2014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번에는 인문학적 시선으로 집을 읽다.

생존의  가장 기본적인 조건중에 하나인 집에 관한 여러가지 시선을 쫓아가 보았다.

크게 두가지 분류인 집안과 집밖의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각각의 쳅터는 문을 열고 집으로 들어가는 편집형식이

참 기발하고 재미있다.

문을 열고 들어가면 이렇게 각 주제에 맞는 도입부분을 생각해볼수있는 명제를 하나 던져준다.

아~~~이런 감성적이고, 아기자기한 구성의 책들 괜히 기분좋아진다. 뭔가 막 예쁜인테리어 해놓은

예쁜공간에 들어가는 느낌!! ^^

무엇보다 사진자료가 풍부한 책이라서 내용에 대한 이해도 쉽지만 볼거리가 풍성한게 참 마음에 든다.

세계 곳곳의 주거에 관한 자료들이 방대해서 가벼운 읽기 책 같지만 알토란같은 자료가 풍부하다.

집이나 건물을 짓기위해서 특히나 인간생활에 관한 연구는 필수이다. 왜냐하면 생활을 이해하지 못한 건축은

큰 불편과 폐해를 유발하기 때문이다.

근래에 초등학교 아이들과 우리 전통문화에 관한 수업을 하면서 한옥의 구조와 생활에 대해 수업을 한적이 있었는데

우리의 대표주거형태의 원조였던 한옥의 구성을 보고 깜짝 놀랐던 기억이 있다.

못질을 하지않고 집을 짜맞추는 형식이라든지, 온돌의 원리라든지, 우리 한옥의 집구조는 과학이라는 개념이 없던

오랜 옛날로 거슬러 올라가는데 깜짝놀라지 않을수가 없었다.

요즘 건강이나 전통에 관한 관심이 좀더 사회적으로 부각이 되면서 숨쉬는 황토집이 거론되는 것 또한 우리전통가옥의

우수성을 입증하는 경향이라고 할수 있겠다.

하지만 한옥을 짓기위한 재료의 수급이라든지 현대의 환경이 이런 집들의 형태를 바꿀수밖에 없게 하는 원인이 되고있다.

 

한가구의 식료품비의 비율을 '엥겔지수'라고 하는데  식비대신 주거비의 지출을 따져보는 지수를 '슈바베(schwabe index)지수'라고 한다.

요즘은 가족의 형태가 많이 변화하고 현대사회의 생활에 적합한 구성으로 변모해가고 있는데 오피스텔이나 옥탑방 그외에 고시텔같은

소규모의 주거형태가 나타난다.

아무래도 청년들의 이른 독립같은 경향이 이런 주거의 형태를 구분 짓는 원인이 되는것 같다.

 

주거형태의 다양한 모습을 살펴본후 집밖에서 만나는 인문학적 주거의 형태들을 만나게 된다.

빛이라는 자연요소를 미학적으로 사용할줄 알았던것을 비롯해 각각의 상황에 맞는 놀라운 활용들이 참 경이롭고 신기하다.

 

넓은의미의 주거,혹은 건축의 의미에서 만나게 되는 아테네의 신전, 파리의 노트르담 성당등은 1천살이 넘었다고 한다.

우리나라의 고궁들이나 건축물도 재보수에 관한 잡음이 늘 끊이지 않는데 국가 문화재로 지정하여 꾸준하고 세심한 관리를

하는것 또한 꼭 빼놓지 않고 신경써야 할 부분인것 같다.

사람이 소중하다!! 주거를 결정할때 시대를 불문하고 가장 중요시 해야할 개념인것 같다.

건축물을 바라보는 시야를 통해 그 사회의 움직임, 역서적,경제적 흐름을 파악하는데 큰 열쇠가 되는 이유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