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 인문으로 수를 읽다 융합과 통섭의 지식 콘서트 3
이광연 지음 / 한국문학사 / 2014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돌이켜보면 수학만큼 인류가 생활하는 곳곳에 깊숙이 관여하고 있는 학문이 없는것 같다.

근간에는 인문학이 여러분야를 아우르는 주요한 이슈가 되고있지만 수학적인 부분은 인문학의 가장 핵심이 아닐까하는

생각을 해보았다.

우선 인문학이라고 하면 인간에 관한 근본문제부터 언어, 예술, 문학, 철학,역사등 인관과 관련된 모든 학문을 말하는데

이부분에 수학적인 개념을 재조명해보는 기회가 되었다.

우리생활에서 기본적인 연산을 포함하여 다양한 부분에서 수학적인 개념을 각각의 주제에따라 구분하여 설명하고있다.

우리가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신용카드나, 화폐는 모양부터 황금비율이라는 수학적인 개념이 포함되어있다.

그외에도 악기를 다루는 부분에서 악보나 음계를 따져보면 그또한 수학적인 부분을 간과하고는 설명이 불가능하다.

그래서 음악적인 감각이 뛰어난 사람들은 수학적인 개념또한 밝을수밖에 없다.

우리의 일상을 돌아보면 어렵지 않게 수학적인 개념을 찾아볼수가 있다. 기본적인 자연의 현상에서 식물성장의 배아패턴,

솔방울 비늘의 배열, 데이지 꽃잎의 배열등 자연현상의 규칙들또한 수학적인 규칙이 있다.

 

수학적인 원리를 적용한 빼놓을수 없는 것이 바로 점자표이다.

시각장애인을 위한 점자는 루이브라이가 처음 만들었다. 실제로 사고로 인한 어릴때 시력을 잃은 루이브라이는 점자의

조합이론을 개발하여 지금까지 시각장애인들에게 많은 도움을 주고있다.

 

총 8개의 쳅터로 이루어진 이책에서 특히 관심있게 보았던것은 영화와 명화에 접목된 수학원리였다.

영화속에서는 불가능해 보이는 도형이 등장하여 '패러독스'라는 똑바르지 않은 의견 또는 상식이라는 의미의

도형이 등장한다.

이것이 흥미와 재치를 자극하여 수학퍼즐같은 흥미를 유발하게 된다는 것이다.

특히나 여러가지 건축물에 접목된 도형들의 조합은 멋과 예술성이 풍부하여 사람들에게 또다른 재미를 주고있다.

'카오스'라는 말은 질서를 나타내는 그리스어에서 유래한 단어인데 혼돈, 무질서라는 뜻으로 쓰인다.

카오스는 결과가 원인에 비례하지 않는 세계를 말하며 현재상태로 먼 미래를 예측할수없다는 단점이 있다.

 

아이들이 쉽게 접근할수 있는 오락수학에 대한 소개도 빼놓지 않았다.

대각선위의 수의합을 활용하는 게임인 마방진은특히 이슬람세계에서 애호되었다.

아랍인들은 마방진이 특별한 힘을 갖고 있다고 생각하여 특정한 마방진부적을 사용하기도 하였다.

 

요즘엔 명화에 관한 책들도 많이 소개가 되고있는데 미술관이나 명화에 대한 공부를 하다보면 황금비율이 적용된 구도로

완성된 작품들이 꽤 많다,

영국의 철학자 로저 베이컨은 다음과 같은 말을 하기도 하였다.

"신은 이 세계를 유클리드 기하의 원리에 따라 창조하였으므로, 인간은 그 방식대로 세계를 그려야 한다."고 주장하기도 하였다.

책의 말미에는

찾아보기 인덱스와 참고문헌들이 자세히 소개되어 있다.

관심사에 따라 간단히 찾아보며 수학적인 인문사전으로의 활용이 충분하다. 생각보다 용어가 어렵지는 않지만

기본적인 수학적 개념이 없을경우에는 이런 소소한 인덱스 부분의 활용도가 훨씬 높아지는것 같다.

또 한가지 깊이있는 정보보다는 기본적인 다양한 인문학적 시선을 다루고 있어서 관심분야를 넓히는데

유용한 수학+인문 복합 개념서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