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학자의 문학살롱 - 그들은 어떻게 고전에서 경제를 읽어내는가 한빛비즈 경제학자 시리즈 3
박병률 지음 / 한빛비즈 / 2014년 5월
평점 :
절판


경제부 기자의 눈을 통해 본 문학속 경제 코드 읽기.
사실 경제라는 용어자체의 괴리감때문에 경제도서라는 키워드는 녹녹히 집어들만한 주제가 아니었다.
그런데 '경제'는 일상을 연구하는 학문으로 분류되어  읽어봐야하는 필수항목이 된것 같다.
막상 경제라는것이 실제로 우리 생활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보니 막상 읽어보면 또 그만큼 와닿는 분야도 없을거란 생각이다.
문확과 경제의만남!! 제목부터가 매력적이지 않을수가 없다.
근간에 [그림속 경제학]이라는 예술과 경제의 콜라보레이션 도서를 읽었는데 밀레의 <이삭줍기>에서는 노동자의 현실과 노동의 가치설에 대한 이야기를 다루게 된다.
예술과 경제는 얼핏보아 전혀 관련이 없어 보이지만 예술의가장 큰 배경이 되는 경제가 자연스럽게 작품속에 녹아드는 경우가 당연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다시 문학에서 찾는 경제 이야기로 넘어와서, ^^
<경제학자의 문학살롱>에서는 총 36권의 인문학책을 모티브로 경제를 다루고있다.
기존에 문학에서 이야기의 스토리만을 쫓아갔다면 기존의 스토리속의 경제키워드를 찾아내서 분석하고 예시자체도 이야기속에서 찾아내게 되는 방식이라 새로운 접근방식이 참 재미나다.
오히려 시대적 배경을 경제키워드와 함께 접하다보니 기존 문학의 이해도도 좀더 높아지는거 같다.




톨스토이는 러시아의 대문호이자 사상가로도 익히 유명하게 알려져있다. 그의 작품들에서 다뤄지는 주제들은 단순히 스토리를 넘어 인류애가 녹아있다.
자신의 작품속에 자신이 추구하는 인간의 공동체를 회복하기위한 메세지를 전달하려는 의도가 다분히 감동적이고 따뜻하다. 대문호다운 넓은 아량이 느껴진다고 해야할까?

명문백작의 가문에서 태어나고 부유한 삶의 배경을 가졌지만 농민을 위해 무소유와 청빈을 평생토록
실천한 작가이다.
그가 존경을 받는 이유가 단지 대문호로서의 작품때문만은 아닐거라는 생각이 새삼 들었다.


또 한가지 재미있는 스토리는 바로 루시 몽고메리의 <빨강머리 앤>이다.
각각의 문학작품과 경제키워드를 다루는 서문에는 각각의 책속구절을 그대로 인용하여 좀더 생생한 문학작품의 여운을 느끼게 해준다. 이미 읽었던 책들의 구절을 다시 접하는것도 반갑고 다시한번 그책들을 접하게 해주는 계기가 되기도 할것 같다.
워낙 수다스럽고 이야기하기를 좋아하는 빨강머리 앤의 통통튀는 매력과 아이디어는 돌아보니 요즘사회에서도 꽤 신선하게 어필되는 재능이 되지않을까?


소개하는 인문학 도서에 관한 재미있는 실존 자료사진들이나 영화나 책의 매개자료들도 경제개념에 관한 지루함을 느낄사이없이 인문학과 경제의 바운드리안에서 자유롭게 다루고있다.
책한권을 다 읽고나면 이렇게 다양한 시각에서 재미있는 접근을 하는 새로운 시야가 생길것 같다.
책한권으로 떠나는 인문학과 경제학의 콜라보레이션!!
멀티플레이어가 주목받고 있는 요즘 이책을 통해 신선하게 다시 재조명해본 문학작품과의 조우는
읽는 내내 뭔가 새로운 반향을 머리속에 살짝 심어주었다는. ^^

나도 경제 쫌! 아는 여자 같아졌다고나 할까? 하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