팬덤의 시대 - 개인과 사회를 움직이는 소속감의 심리학
마이클 본드 지음, 강동혁 옮김 / 어크로스 / 2023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ˋˏ 개인의 시대라는 착각을 부수다ˎˊ˗

현대사회를 고립과 개인화의 시대라고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금은 알게 모르게 소셜미디어의 영향력 안에서 알게 모르게 연결되어 있는 거미줄 구조 속에서 잠시도 혼자 일수 없는 시대. 영국의 저널리스트로 군중심리와 집단사고에 관한 사회심리학의 성과를 다룬 저서로 영국 심리 학회 저술상을 수상한 공신력 있는 저자의 집단에 대한 소속감을 정체성으로 형성하는 현대사회의 팬덤에 대한 분석을 따라가는 과정이 흥미진진하다.



공통의 관심사는 자신에게 의미를 부여하게 하고 강력한 소속감은 안정감마저 갖게 한다. 사회적 동물인 인간으로서의 삶의 필연적인 단어 팬덤° fandom에서 fan은 광신도 fanatic에서 유래했다.

시대와 세대를 따라 열광적으로 팬덤을 형성하는 문화들을 떠올리면 마음 한편이 몽글몽글해지는 경험들을 떠올리게 한다. 스타워즈, 셜록 홈스, 해리 포터 등. 가상의 존재를 통해 안전하게 애착의 감정을 경험하는 과정에서 팬덤은 유대감과 함께 소속감마저 선사하는 긍정적인 면도 있지만 반대로 극성 팬덤을 형성하는 다크 팬덤까지.

소셜미디어는 세계를 꿈에 그리던 하루의 생활권을 넘어 초연결 사회를 이루었고 팬덤은 비이성적이고 심각한 극성 팬덤을 조장하기도 했다. 선한 영향력을 행사하기도 하고, 얼굴 없는 괴물이 되어 고통을 주기도 하는 두 얼굴의 팬덤. 인간의 필요에 의해 문명이 창조되었고, 그 문명으로 인해 또 인간은 고통받는 아이러니.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대 사회를 움직이는 인간 심리학의 심층 분석은 팬덤에 휩쓸리지 않고 자칫 왜곡된 팬덤의 늪에 빠지지 않도록 성찰의 계기가 ㄷ된다. 이 시대를 사는 우리가 한번은 꼭 생각해 봐야 할 사소하고도 중요한 이야기. 팬덤의 시대!

*출판사에서 제공한 도서를 읽고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