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메트로폴리탄 미술관의 경비원입니다 - 경이로운 세계 속으로 숨어버린 한 남자의 이야기
패트릭 브링리 지음, 김희정.조현주 옮김 / 웅진지식하우스 / 2023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All the Beauty in the World, 세상의 모든 아름다움>

어린 시절부터 든든한 형이자 친구 같았던 형을 잃고 상실감과 무기력에 빠진 저자는 뉴요커에서 메트로폴리탄 미술관의 경비원으로 지원했고,
그 후 10년간의 미술관 생활을 통해 세상으로 나가는 여정을 글로 남겼다.

인생에서 가장 힘든 순간이 오면 저마다의 방식으로 극복하는 방법들은 그간의 삶의 환경에서 비롯될 터다. 저자는 어린 시절부터 어머니의 손에 이끌려 자연스럽게 미술관을 누볐고, 침대맡에서 어머니가 읽어주는 그림동화를 읽었고, 아버지로부터는 예술가란 두려워하지 않는 사람이라는 생각들을 키우게 하는 환경에서 자랐다. 가장 위태로운 순간에 그런 경험들은 한 사람의 삶의 방향성에 영향을 미친다.



수년 전 루브르에 갔을 때 거대한 캔버스를 놓고 모사화를 그리는 모습에 놀랐던 기억이 있다.
메트로폴리탄에도 25퍼센트 이상 작은 캔버스를 사용하면 가능하다는 에피소드를 읽다 그 궁금증이 해결되었다. 그 외에도 저자가 아들을 달래느라 안고 있는 모습에서 성모와 아기 예수를 떠올리고 미켈란젤로의 작품에 대한 일화를 떠올리는 장면에서 저자의 일상에 자연스럽게 녹아있는 예술적 시선이 느껴진다.



빈센트 반 고흐는 렘브란트의 작품 앞에서 말라빠진 빵 조각이나 먹으면서 2주일 정도 앉아있을 수만 있다면 자신의 생명을 10년 정도 단축해도 좋을 것 같다는 일화를 남겼다. 인생에서 그런 작품을 마주할 수 있는 행운이 있다면 그 또한 축복이겠다.

10년간의 메트로폴리탄 미술관의 경비원으로 근무했던 저자의 마지막 출근일에 저자는 자유롭게 미술관 곳곳을 경비할 수 있는 특권이 주어졌다. 미술관에서 수많은 전시를 마주하는 나도 나만의 의식으로 전시가 종료되기 전에 하는 일이 있다.그래서 더 와닿았고 뭉클했던 순간들. 10년간 근무했던 광활한 미술관에서 그가 꼽은 하나의 작품.



"우리는 삶을 살아가야 하고, 삶은 우리를 내버려 두지 않는다. "

마지막 책장을 덮으며 마음이 벅차올랐던 패트릭 브링리의 미술관생활 10년의 회고록 그리고, 10년을 미술관에서 경비원으로 일한 사람으로 관람객들에게 남긴 조언을 확인해보시길!!^^


*출판사에서 제공한 도서를 읽고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